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용 가정환경 척도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a Korean Home Environment Scale for Infants and Toddlers

  • 김정민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김지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 정현심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투고 : 2010.06.30
  • 심사 : 2010.09.10
  • 발행 : 2011.06.30

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 scale to evaluate Korean home environm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for the purpose of being used by teachers caring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mothers of 0- to 2-year-olds. Mean, SD, $x^2$, Cramer's V,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s, Cronbach's ${\alpha}$ were calculated in order to analyze the outcomes of this study. As a result, 38 items of the scale were found to be satisfactory in terms of item distribution and item discrimination. Four factors with 21 items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 'developmental stimulus', 'responsivity', 'encouragement of verbal interaction', and 'arrangement of daily routines'. Our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this scale with SES, HOME, and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showed acceptable concurren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of this scale was high. These results identify this scale a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the Korean home environment for infants and toddl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금주․김정민․유제민(2007). 만 3세 아동에 대한 빈곤, 부모변인, 가정환경 및 아동발달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0(3), 83-98.
  2. 곽금주․유제민․김정민(2007). 빈곤 아동에 대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탐색: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0(1), 1-19.
  3. 곽금주․성현란․장유경․심희옥․이지연․김수정․배기조(2005). 한국영아발달연구. 서울: 학지사.
  4. 김미정(2001). 어머니의 양육가치, 양육목표, 양육신념 및 조정행동과 유아의 순응행동 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정미․곽금주(2007). 3-6세 유아를 위한 가정환경 자극 척도(EC-HOME)의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8(1). 115-128.
  6. 김정미․신희선(2006). K-CDI아동발달검사.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7. 김종순(1990). 영아의 애착, 자아인식 및 사물영속성 보존능력과 가정환경의 상호 관련성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4(1), 129-169.
  8. 김혜경․조성연(2002). 가족형태에 따른 가정환경(HOME)과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 한국가족복지학, 7(2), 3-16.
  9. 민하영․이영미(2009). 어머니의 집단주의적 양육가치가 유아의 공격 및 불안행동에 미치는 영향:결혼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가족과 문화, 21(4), 21-39.
  10. 보건복지부․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2009).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
  11. 송인섭․안혜진․김나현․정미경(2006). 가정환경 구조모형의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1), 1-19.
  12. 우남희․김현신(2004). 한국 조기교육의 과거와 현재. 생활과학연구, 9, 169-180.
  13. 윤형주․조복희(200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가정의 양육환경 및 그 관계성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2), 59-88.
  14. 이기숙(2001).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유아교육 혁신. 교육인적자원부 유아교육정책과제 2001-24.
  15. 이소은(1999). 한국의 문화와 아동발달. 생활과학연구논총(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 53-64.
  16. 이영(1980). 3세이하 어린이의 가정환경과 발달수준과의 관계. 연세논총, 17(1), 249-264.
  17. 이영(1985). 0-3세용 가정환경자극검사(HOME)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연세논총, 21, 379-397.
  18. 이완정․현온강(1994). 영아, 걸음마기 자녀 양육신념의 세대간 비교연구:상호의존성과 독립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4), 97-110.
  19. 이주리(1992). 가정환경검사(HOME)의 타당화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1), 1-13.
  20. 이지연․곽금주(2008). 아동초기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가정환경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1(3), 151-165.
  21. 장영애(1984). 가정환경 자극검사(HOME)의 타당화 연구: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용. 대한가정학회지, 22(4), 173-182.
  22. 장영애(1987). 가정환경변인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인과모형분석. 아동학회지, 8(2), 17-44.
  23. 장영애(1995). 가정환경자극, 사회인구론적 변인과 아동의 언어능력간의 인과모형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3(4), 173-188.
  24. 장영애․서용선(1983). 가정환경 자극검사(HOME)와 학령 전 아동의 발달 수준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4, 1-10.
  25. 정원식(1986). 교육환경론. 서울: 교육과학출판사.
  26. 차배근(1985). 사회과학 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27. 한국아동학회․한솔교육문화연구원(2001). 아동발달 백서. 서울: 한솔교육.
  28. 허만형(2001). 통계분석론. 서울: 법문사.
  29. Bradley, R. H., Caldwell, B. M., & Elardo, R. (1977). Home environment, social status, and mental test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9(6), 697-701. https://doi.org/10.1037/0022-0663.69.6.697
  30. Bradley, R. H., Caldwell, B. M., Rock, S. L., Ramey, C. T., Barnard, K. E., Gray, C., Hammond, M. A., Mitchell, S., Allen, W., Siegel, L., & Johnson, D. L. (1989). Home environ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first three years of life:A collaborative study involving six sites and three ethnic groups in North America. Developmental Psychology, 25(2), 217-235. https://doi.org/10.1037/0012-1649.25.2.217
  31. Brooks-Gunn, J., & Duncan, G. (1997).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 and youth. The Future of Children, 7, 55-71. https://doi.org/10.2307/1602387
  32. Caldwell, B. M., & Bradley, R. H. (2003). Home Inventory Administration Manual:Comprehensive Edition.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33. Dave, R. (1963).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process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educational achievement.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34. Fuligni, A. S., Han, W., & Brooks-Gunn, J. (2004). The Infant-Toddler HOME in the 2nd and 3rd years of life. Parenting:Science and Practice, 4(2-3), 139-159. https://doi.org/10.1080/15295192.2004.9681268
  35. Hanson, A. R. (1975). Consistency and stability of home environmental measures related to IQ. Child Development, 46, 470-480.
  36. Ireton, H. (1992). Child Development Inventory, Manual. Minneapolis, MN:Behavior Science Systems.
  37.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Y:McGraw-Hill.
  38. Linver, M. R., Martin, A., & Brooks-Gunn, J. (2004). Measuring infants' home environment:The ITHOME for infants between birth and 12 months in four national data sets. Parenting:Science and Practice, 4(2-3), 115-137. https://doi.org/10.1080/15295192.2004.9681267
  39. Ramey, C. T., Yeates, K. O., & Short, E. J. (1984). The plasticity of cognitive performance:Insights from preventive intervention. Child Development, 55, 1913-1925. https://doi.org/10.2307/1129938
  40. Schmitz, M. F. (2005). Cultural and acculturation differences in trajectories of home environment inventory scores for latino children and families. Journal of Family Issues, 26(5), 568-583. https://doi.org/10.1177/0192513X04273586
  41. Shaffer, D. R. (2005). Developmental Psychology:Childhood and Adolescence. Singapore:Thomson Learning (6th ed.). 송길연․장유경․이지연․정윤경 역(2005). 발달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42. Stevens, J. H., & Bakeman, R. (1985). A factor analytic study of the HOME scale for infants.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196-1203. https://doi.org/10.1037/0012-1649.21.6.1196
  43. Wolf, R. (1964).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process variables related to intelligence.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