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에서 림프관 생성인자 확인을 통한 림프절 전이의 예측

Prediction of Regional Metastasis by the Expression of Lymphangiogenic Factors in Micropapillary Thyroid Carcinoma

  • 이성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 최승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 남순열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 조경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병리과학교실) ;
  • 김상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Lee, Sung-Bu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Choi, Seung-Ho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Nam, Soon-Yuhl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Cho, Kyung-Ja (Department of Path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Sang-Yoo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11.05.27

초록

서 론 : 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 환자에서 불필요한 예방적 중앙 림프절절제술을 피하기 위해서 림프절 전이를 수술 전에 예측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림프관 생성 및 성장의 조절에 VEGF-C/D, VEGFR-3 pathway, podoplain이 관여된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림프관 생성 및 성장과 관련된 인자인 VEGF-C/D, podoplan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과 반정량적 분석을 통해 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에서 림프절전이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6년 9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본원에서 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으로 진단받고 1인 술자에 의해 갑상선 전 절제술 및 예방적 중앙 림프절절제술을 받은 104명의 환자 중 중앙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환자와 없었던 환자를 각각 25명씩 무작위로 선별하여 종양부위에 면역화학염색을 실시하여 림프관생성인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군 50예 중 VEGF-C/D는 50예(100%) 모두 발현이 되었고 podoplanin은 33예(66%)에서 발현이 되었다. 그 중 VEGF-C는 10예(20%)에서 약한 양성, 37예(74%)에서 중등도 양성, 3예(6%)에서 강한 양성소견을 보였고 VEGF-D는 9예(18%)에서 약한 양성, 37예(74%)에서 중등도 양성, 4예(8%)에서 강한 양성소견을 보였다. 중앙 림프절 전이 음성 환자 군과 양성 환자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VEGF-C/D의 발현율의 차이는 p-value가 각각 0.48, 1.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0예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종양의 개수, 최대크기, 검출된 전체 림프절의 수, 양성 림프절의 수, 주변조직 침범여부에 따른 VEGF-C/D의 발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odoplanin의 경우 염색 여부에 따라 양성군과 음성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종양의 개수, 최대크기, 검출된 림프절의 수, 양성 림프절의 수, 주변조직 침범여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VEGF-C/D는 대상군 전체(100%)에서 발현이 되었고 podoplanin은 66%에서 발현이 되었다. 림프관 생성인자로 알려진 VEGF-C/D및 podoplanin이 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에서 많이 발현이 되는 것으로 보아 위 인자들이 림프절 전이를 일으키는 인자 중 하나로 생각된다. 하지만 미세갑상선유두상암종에서 중앙 림프절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부적합 한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더 많은 증례를 통해 관련성 여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또 다른 인자의 관련성에 대해서 연구가 필요하겠다.

키워드

참고문헌

  1. Udelsman R, Chen H. The current management of thyroid cancer. Adv Surg. 1999;33:1-27.
  2. Lloyd R, De Lellis R, Heitz P, Eng C.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Tumors: Pathology and Genetics of Tumors of the Endocrine Organs. Lyon, France: IARC Press;2004.
  3. Gross ND, Weissmen JL, Talbot JM, Andersen PE, Wax MK, Cohen JI. MRI detection of cervical metastasis from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Larygoscope. 2001;111:1905-1909. https://doi.org/10.1097/00005537-200111000-00006
  4. Cooper DS, Doherty GM, Haugen BR. Revised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Management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yroid. 2009;11:1167-1214.
  5. Tisell LE, Nilsson B, Molne J, Hansson G, Fjälling M, Jansson S, et al. Improved survival of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n-cer after surgical microdissection. World J Surg. 1996;20:854-859. https://doi.org/10.1007/s002689900130
  6. Choi SJ, Kim TY, Lee JC, Shong YK. Is routine central neck dissection necessary for the treatment of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Clin Exp Otorhinolaryngol. 2008;1:41-45. https://doi.org/10.3342/ceo.2008.1.1.41
  7. Roh JL, Park JY, Park CI. Total thyroidectomy plus neck dissection in differentiat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atients: pattern of nodal metastasis, morbidity, recurrence and postoperative levels of serum parathyroid hormone. Ann Surg. 2007;245:604-610. https://doi.org/10.1097/01.sla.0000250451.59685.67
  8. Alitalo K, Tammela T, Petrova TV. Lymphangiogenesis in development and human disease. Nature 2005;438(7070):946-953. https://doi.org/10.1038/nature04480
  9. Sundar SS, Ganesan TS. Role of lymphangiogenesis in cancer. J Clin Oncol. 2007;25(27):4298-4307. https://doi.org/10.1200/JCO.2006.07.1092
  10. Hung CJ, Ginzinger DG, Zarnegar R.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C in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tumors. J Clin Endocrinol Metab. 2003;88(8):3694-3699. https://doi.org/10.1210/jc.2003-030080
  11. Yu XM, Lo CY, Chan WF, Lam KY, Leung P, Luk JM. Increased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correlates with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Clin Cancer Res. 2005;11(22):8063-8069. https://doi.org/10.1158/1078-0432.CCR-05-0646
  12. Yasuoka H, Nakamura Y, Zuo H. VEGF-D expression and lymph vessels play an important role for lymph node metastasis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Mod Pathol. 2005;18(8):1127-1133. https://doi.org/10.1038/modpathol.3800402
  13. Yu XM, Lo CY, Lam AK, Leung P, Luk JM. Serum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 correlates with lymph node metastases and high-risk tumor profiles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nn Surg. 2008;247(3):483-489. https://doi.org/10.1097/SLA.0b013e31815fa447
  14. Achen MG, Jeltsch M, Kukk 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D(VEGF-D) is a ligand for the tyrosine kinases VEGF receptor 2(Flk1) and VEGF receptor 3 (Flt4). Proc Natl Acad Sci USA. 1998;95:548-553. https://doi.org/10.1073/pnas.95.2.548
  15. Stacker SA, Caesar C, Baldwin ME. VEGF-D promotes the metastatic spread of tumor cells via the lymphatics. Nat Med. 2001;7:186-191. https://doi.org/10.1038/84635
  16. Breiteneder-Geleff S, Matsui K, Soleiman A. Podoplanin, novel 43-kd membrane protein of glomerular epithelial cells, is downregulated in puromycin nephrosis. Am J Pathol. 1997;151:1141-1152.
  17. Breiteneder-Geleff S, Soleiman A, Kowalski H. Angiosarcomas express mixed endothelial phenotypes of blood and lymphatic capillaries: podoplanin as a specific marker for lymphatic endothelium. Am J Pathol. 1999;154:385-394. https://doi.org/10.1016/S0002-9440(10)65285-6
  18. Birner P, Schindl M, Obermair A. Lymphatic microvessel density as a novel prognostic factor in early-stage invasive cervical cancer. Int J Cancer. 2001;95:29-33. https://doi.org/10.1002/1097-0215(20010120)95:1<29::AID-IJC1005>3.0.CO;2-W
  19. Gulben K, Berberoglu U, Celen O, Mersin HH. Incidental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e thyroid-factors affecting lymph node metastasis. Langenbecks Arch Surg. 2008;393:25-29.
  20. Chow SM, Law SC, Chan JK, Au SK, Yau S, Lau WH.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e thyroid-prognostic significance of lymph node metastasis and multifocality. Cancer. 2003;98:31-40. https://doi.org/10.1002/cncr.1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