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편도 편평상피암종에서 고위험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와 젊은 연령 및 비흡연자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igh Risk Human Papillomavirus and Young Patients and Nonsmoker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sil in Korea

  • 주영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정찬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조광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선동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박준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김민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Joo, Young-Hoo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Jung, Chan-Kwon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o, Kwang-Ja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un, Dong-Il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Park, Jun-Ook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Min-Sik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발행 : 2011.05.27

초록

연구 및 목적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편도 편평세포암종의 발생에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high risk human pap-illomavirus)의 역할 및 관여 인자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연구는 편도 편평상피세포암종으로 진단받은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을 알기위해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과 나이, 성별, 흡연, 음주, 병기, 병리학적 특징 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양성율은 31.5%(17/54)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은 젊은 연령(50세 미만), 비흡연자, 림프절 전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08, p=0.042, p=0.027). 하지만 성별, 음주, 원발부위 병기, 종양분화도, 피막외침범, 혈관 및 신경 침범과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5년 전체 생존율 및 질병 특이 생존율은 각각 60%와 62%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양성율은 질병 특이 생존율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9). 결 론 : 한국인의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은 젊은 연령 및 비흡연자의 편도 편평세포암종의 발생에 관련이 있고 예후 인자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Frisch M, Hjalgrim H, Jaeger AB, Biggar RJ. Changing patterns of tonsillar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United States. Cancer Causes Control. 2000;11:489-495. https://doi.org/10.1023/A:1008918223334
  2. 2004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Available from: http://www.ncc.re.kr.
  3. Pytynia KB, Grant JR, Etzel CJ, Roberts DB, Wei Q, Sturgis EM. Matched-pair analysis of survival of never smokers and ever smoker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J Clin Oncol. 2004;22:3981-3988. https://doi.org/10.1200/JCO.2004.02.133
  4. Pytynia KB, Grant JR, Etzel CJ, Roberts DB, Wei Q, Sturgis EM. Matched-pair analysis of survival of never smokers and ever smoker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J Clin Oncol. 2004;22:3981-3988. https://doi.org/10.1200/JCO.2004.02.133
  5. Li W, Thompson CH, Cossart YE, O'Brien CJ, McNeil EB, Scolyer RA, Rose BR, et al. The expression of key cell cycle markers and presence of human papillomaviru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sil. Head Neck. 2004;26:1-9. https://doi.org/10.1002/hed.10335
  6. Kreimer AR, Clifford GM, Boyle P, Franceschi S. Human papillomavirus type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s worldwide: a systematic review.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5;14:467-475. https://doi.org/10.1158/1055-9965.EPI-04-0551
  7. Andl T, Kahn T, Pfuhl A, Nicola T, Erber R, Conradt C, et al. Etiological involvement of oncogenic human papillomavirus in tonsillar squamous cell carcinomas lacking relinoblastoma cell cycle control. Cancer Res. 1998:58:5-13.
  8. Chang F, Syrjanen S, Kellokoski J, Syrjanen K. Human papillomavirus(HPV) infectio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oral disease. J Oral Pathol Med. 1991;20:305-317. https://doi.org/10.1111/j.1600-0714.1991.tb00936.x
  9. Scully C, Prime S, Maitland N. Papillomaviruses: their possible role in oral disea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5;60:166-174. https://doi.org/10.1016/0030-4220(85)90286-5
  10. OECD Health Data 2008: Statistics and Indicators for 30 Countries. Paris: OECD; 2008 Available from: URL:http://www.oecd.org/health/health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