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요양보호사 교육 참가자의 학습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on the Learning Flow with Training for Caregivers

  • 노효련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투고 : 2011.02.14
  • 심사 : 2011.03.17
  • 발행 : 2011.06.28

초록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교육생들의 학습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B시의 요양보호사 교육원의 교육생 23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학습동기 척도와 몰입 상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습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내재적, 외재적 학습동기가 학습몰입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학습과제에 대한 몰입은 학습동기가 증가될수록 높아지는 성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외재적 학습동기보다 내재적 학습동기가 학습몰입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몰입정도는 내재적 동기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외재적 동기에도 영향을 일부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요양보호사 인력 양성을 위하여 요양보호사 교육에 대한 다각적인 측면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how caregivers' academic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raining affects their learning flow with their training. This study surveyed 230 trainees at a caregiver training agency in City B. A survey was conducted, and questionnaire was conceived to obtain the measure of two latent variables: learning flow, motivation to learn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flow. However Intrinsic motivation had high level of correlation than extrinsic motivation on learning flow. Therefore, learning flow had not alone intrinsic motivation but also partial correlation with extrinsic motivation. The multidirectional study is require the caregivers' training for development, caregivers' training and Manag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유수정, 김신미, 이윤정, "노인유사체험학습이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6호, pp.974-982, 2004.
  2. 노효련, 이은주, "요양 보호사 교육에서 교육생의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2권, 제1호, pp.36-44.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1.268
  3. 제갈현숙,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공급구조의 왜곡된 시장화: 시행 1년을 맞이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 진보평론, 제1호, pp.211-233, 2009.
  4. 박지원,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의 현장 활용 적합성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5. 유재응, 최우진, "요양보호사 교육내용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제19권 제1호, pp.139-165. 2009.
  6. 이미자, "우리나라 요양보호사 인력양성 현황 및 문제점",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제2권, 제1호, pp.69-74, 2008.
  7. 조정민 DACUM 기법에 의한 노인 요양보호사 직무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5권, 제1호, pp.66-75, 2008.
  8. R. W. Boshier,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lternative form of the rducation participation scale,"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41, No.3, pp.150-167, 1991. https://doi.org/10.1177/0001848191041003002
  9. 김진호, "성인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0. 박성익, 김연경,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93-115.
  11. M. Csikszentmihalyi,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Jossey-Bass, 1975.
  12. B. L. Harju and M. A. Eppler, "Achievement of motivation: Flow and irration beliefs i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J of Instructional Psychology, Vol.24, No.3, pp,147-157, 1997.
  13. P. R. Pintrich and D. H. Schunk,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esearch, and applications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002.
  14. E. L. Deci, Intrinsic motivation. New York Plenum. 1975.
  15.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6.
  16. R. J. Vallerand and R. Bissonnette, "Intrinsic, extrinsic and amotivational styles as predictors of behavior. A prospective study," J of personality, Vol.60, No.3, pp.599-620, 1992. https://doi.org/10.1111/j.1467-6494.1992.tb00922.x
  17. S. A. Jackson, and H. W. Mar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Vol.18, pp.17-35, 1996. https://doi.org/10.1123/jsep.18.1.17
  18. 박에스더,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 몰입, 성취도, 만족도간의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9. 원효숙, "요양보호사의 교육과 직무만족에 관한 고찰 연구",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0. 김동민, "성인학습자의 학습 평생교육 만족도 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1. L. S. Shulman, "Making differences: A table of learning," Change, Vol.34, No.6, No.36-44, 2002. https://doi.org/10.1080/00091380209605567
  22. 소연희, "성치목표지향성, 지각된 학급목표구조, 목표몰입의지, 자기조절학습 및 수학학업성취의 구조적 분석", 아동교육, 제19권, 제3호, pp.41-56, 2010.
  23. 이은주,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5권, 제3호, pp.199-216, 2001.
  24. 김나영, 사이버교육에서 학습동기, 프로그램, 조직의 지원과 상호작용, 몰입 및 학습 성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2008.

피인용 문헌

  1. Effects of the "Motivation Semester" Program among University Freshmen : Focused on K-University vol.13, pp.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