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il Habitat Characteristics of Cicada Nymph in an Urban Apartment Garden

도심 아파트 단지 화단에 나타나는 매미 약충의 토양 서식처 특성

  • Received : 2011.03.25
  • Accepted : 2011.04.28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Cicada is a very familiar insect to people but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m are not well known. To investigate habitat characteristics of cicada nymph, plant species, plant cover, soil hardness, accumulated organic mass, organic content in soil, and root density were investigated at 11 sites in an apartment complex garden in Seoul. Selected sites had different densities of cicada nymph case above the ground. Density of cicada nymph ca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cumulated organic mass, organic content in soil, and root densit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il hardness. Even though shrub coverage was not linearly correlated with the density of cicada nymph case, 80% cover of shrub was necessary for the high density of them. Data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organic matter in addition to root density be the primary limitation factor of cicada nymph and high amount of litter-fall decrease soil hardness through the increase of soil organic matt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nsity of cicada nymph can be managed through organic content in soil.

Keywords

References

  1.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고등학교. 1965. 사과나무에 피해를 주는 말매미의 생태 및 구제방안. 제 11회 전국 과학 전람회.
  2. 권용수․남형규․배미정․박영석. 2006. 도심지역에서 매미의 발생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2:32-35.
  3. 김건희. 2007. 담쟁이덩굴의 소음 흡수 효과. 제22회 서울특별시 학생탐구발표대회 보고서.
  4. 김재근․김흥태(역). 2008. 생태학 : 개념과 적용 4판. 서울 : 라이프사이언스.
  5. 김재근․박정호․최병진․심재한․권기진․이보아․이양우․주은정. 2004. 생태조사방법론. 서울 : 보문당.
  6. 박갑수. 2002. 우리말 우리문화(17) : 매미는 맵다 울고…. 한글한자문화 38:82-83.
  7. 박갑천. 1991. 원탁 : 뱀의 비늘, 매미의 날개. 해양한국(월간해양한국) 12월호 : 90-91.
  8. 윤기상. 2008. 매미 소음에 대한 음향학적 분석 및 청소년의 심리, 생리적 반응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규송․조도순. 2000. 점봉산 생물권 보전지역내 온대낙엽수림에서 미소환경요인과 식생요인의 공간분포와 상관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3:241-253.
  10. 이달수. 1969. 귤나무에 피해를 주는 말매미의 생태와 방제책. 제15회 전국 과학 전람회.
  11. 이성무․오용식. 1988. 말매미의 피해 및 방제에 관한 조사. 제34회 전국 과학 전람회.
  12. 이영준. 2005. 우리 매미 탐구. 지오북, pp. 12-119.
  13. 이주형․박지현․유지연․한수현․남보은․김재근. 2010. 온대 숲 토양 생태계에서 지렁이가 톡토기류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6):97-106.
  14. 장남기․권희정. 1987. 한라산, 소백산 및 태백산의 고도에 따른 낙엽의 생산과 분해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0:109-118.
  15. 장남기․이성규․이복선․김희백. 1987. 한국의 낙엽분해도 및 년간 무기양분 순환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0(4):183-193.
  16. 장남기․정미애. 1987. 덕유산의 고도에 따른 낙엽의 생산과 분해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9:185-192.
  17. 전영우․신만용․김기원 외 18인. 1999. 숲이 있는 학교. 서울 : 이채.
  18. 정기열․이재성․고지연․최영대․윤을수. 2008. 토양경도에 따른 콩 수량 및 뿌리신장 한계 저항값 설정. 한국토양비료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 초록집 p. 63.
  19. 조백현. 2002. 토양학. 서울 : 향문사.
  20. 최원석․이신우․최경종. 1996. 활엽수 가지를 죽게 한 말매미의 산란방법과 령 판정에 관한 우리들의 탐구. 제42회 전국 과학 전람회(생물부문).
  21. 최지인. 2007. 중랑천에 서식하는 매미 생태 조사. 제22회 서울특별시 학생탐구발표대회 보고서.
  22. Brown, G. G. 1995. How do earthworms affect microfloral and faunal community diversity? Plant and Soil 170:209-231. https://doi.org/10.1007/BF02183068
  23. Strandine, E. J. 1940. A quantitative study of the periodical cicada with respect to soil of three forest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24(1):177-183. https://doi.org/10.2307/2421058
  24. White, J. and C. E. Strehl. 1978. Xylem feeding by periodical cicada nymphs on tree roots. Ecological Entomology 3:323-327. https://doi.org/10.1111/j.1365-2311.1978.tb00933.x

Cited by

  1.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매미류의 생물음향 및 서식환경 분석 vol.33, pp.6, 2019, https://doi.org/10.13047/kjee.2019.33.6.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