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linical Case Report of Tinnitus after Head Trauma

두부(頭部) 외상(外傷) 이후 발생한 이명(耳鳴)환자 치험 1례

  • 김현정 (동서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 조아름 (동서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 김창환 (동서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Received : 2011.07.06
  • Accepted : 2011.08.11
  • Published : 2011.08.25

Abstract

Objectives: Oriental medical treatment could be effective with the patient with tinnitus after head trauma. Methods: We experienced one case of tinnitus after head trauma treated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Hwaeo-jeon). Result: After the treatment the grades of VNRS, THI were decreased and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Conclusion: Oriental medical treatment,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Hwaeo-jeon) were effective on tinnitus after head trauma.

Keywords

References

  1. 전경명. 이명. 대한이비인후과학회편.이비인후과학 두경부외과학. 서울:일조각. 2002:812-4.
  2. 노관택. 개정판 이비인후과학:두경부외과학. 서울:일조각. 2004:4.
  3. 노석선. 원색안이비인후과학. 서울:일중사. 1999:38, 88.
  4. 이정용, 노석선. 이명의 원인별 분류 및 치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안이비인후과학회지. 1992;5(1):45-59.
  5. 王琦 外. 黃帝內徑今釋. 서울:成補社. 1994:238, 291, 622.
  6. Fitzerald DC. Head trauma:Hearing loss and dizziness. J Trauma. 1996;40(3):488-96. https://doi.org/10.1097/00005373-199603000-00034
  7. Grove WE. Skull fracture involving the ear. A clinical study of 211case. Laryngoscope. 1939;49:678-84.
  8. 장명옥. 두부손상후 청력장애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1984.
  9. Newman CW, Jacobson GP, Spitzer JP. Development of the Tinnitus Handicap Inventor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6;122:143-8. https://doi.org/10.1001/archotol.1996.01890140029007
  10. 노석선. 개정판안이비인후과학. 대전:주민출판사. 2003:377.
  11. 이종엽. 耳鳴에서 와우 원심신경계의 기능. 인제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7.
  12. 윤한식. 중이손상의 고해상 CT 평가. 한국방사선기술연구회지. 2003;27(3):13-8.
  13. 김홍진, 박수연, 김종한, 최정화. 이명환자 5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외관과학회지. 2001; 14(2):146-53.
  14. 전경명, 조규섭, 김진동, 이진춘, 이일우, 고의경. 이명의 자각적 표현과 주파수의 관계.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2005;48(8):961-6.
  15. 김종선, 이소영, 김창훈, 임승락, 신준호, 정원호, 유범희, 성화. 한국어번역판 Tinnitus Handicap Inventory의 신뢰도 및 타당성연구.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2002;45:328-33.
  16. 정찬호, 최규동. 이명의 원인과 치법에 대한 연구. 대한외관과학회지. 1995;8(1):39-50.
  17. 채병윤. 동의안이비인후과학. 서울:집문당. 2004: 250-5.
  18. Schuknecht HF, Davision RC. Deafness and vertigo from head injury. Arch Otolaryng. 1956;63:513-8. https://doi.org/10.1001/archotol.1956.03830110055006
  19. Kochhar LK, Deka RC, Kacker SK, Raman EV. Hearing loss after head injury. Ear Nose Throat J. 1990;69(8):537-42.
  20. Harrison SE,Anand VK. Imaging case study of the month : pediatric temporal bone fracture. Ann Otol Rhinol Laryngol. 2000: 988-90.
  21. 민양기, 최종욱, 김리석. 일차진료를 위한 이비인후과학임상. 서울:일조각. 2000:414-5.
  22. Ulug T, Ulubil SA. Contralateral labyrinthine concussion in temporal bone fractures. J Otolaryngol. 2006;35(6):380-3. https://doi.org/10.2310/7070.2006.0069
  23. 金永勳. 晴崗醫鑑. 5판. 서울:成補社. 2001:379.
  24. 尹用甲. 圖解增補 東醫方劑와 處方解說. 서울:의성당. 2007:682.
  25. 趙世衡. 舍岩鍼法體系的硏究. 서울:成補社. 2001: 21, 324.
  26. 전국한의과대학 침구 경혈학교실 편저. 침구학 (상). 서울:집문당. 2006:323-5, 600.
  27. 최인화. 이명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외관과학회지. 2001;14(2):134-45.
  28. 김경준. 이명의 형태와 치료효율에 대한 임상적 분석. 대한외관과학회지. 1999;12(2):182-8.
  29. 박경화, 한영목, 황충연. 부항, 뜸, 침, 레이저요법 시술이 耳鳴에 미치는 영향. 대한외관과학회지. 1999;12(1):396-409.
  30. 박민철. 외상성 후두골과 측두골 골절에 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5):15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