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의 천문에 관한 내용 분석

Contents Analysis of Astronomy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Curriculum

  • 투고 : 2011.04.06
  • 심사 : 2011.04.27
  • 발행 : 2011.04.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aningful basic materials for organizing a science curriculum in future by analyzing the status and changes of contents about astronomical phenomena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 main target of analysis is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 curriculums from 1st to 7th. For the analysis, the analytic frame based on contents in astronomy textbooks of teachers colleges and colleges of education was us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astronomy accounted for average about 7% of all pages of textbooks in all of science curriculums. The 1st educational curriculum had the most learning quantity of 10.40%, and the 6th curriculum had the least quantity of 4.39%. These results show that astronomy was not a small part and was considered important in each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considering that earth science accounted for 17-26% of all pag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Second, the things that have been dealt with in common in all science curriculums from 1st to 7th of elementary school are the shape of the earth, the rotation and the revolution of the earth, the occurrence of the seasons, the apparent motion of the sun, the status and motion of the moon, the movement of a star, the brightness and distance of a star, constellations, the sun, planets and others. These contents are expected to be dealt with continuously as basic contents to organize astronomy regardless of the changes of curriculum. Third, in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stronomical phenomena based on life experiences regarding the earth, the moon and the sun are mainly dealt with in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Contents requiring principles-understanding and research are dealt with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These results show that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dealing with astronomy reflects the developmental stages of students and considers principle of learning possi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선영, 안건상(2007). 제7차 교육과정 초.중.고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 영역에 관한 연계성 분석 및 개선방향. 교과교육연구, 28(1), 1-20.
  2. 교육과학기술부(2010). 과학(3-4학년), (주)금성출판사.
  3. 교육과학기술부(2010). 과학(5-6학년 2학기) 실험본, (주)금성출판사.
  4. 교육과학기술부(2010). 슬기로운 생활(1-2학년), 두산동아(주).
  5.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5,6학년 1학기), (주)금성출판사.
  6.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5,6학년 2학기) 실험본, (주)금성출판사.
  7.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슬기로운 생활(1-2학년), 두산동아(주).
  8.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5-6학년 1학기), (주)금성출판사.
  9. 교육부(1996). 슬기로운 생활(1-2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0. 교육부(1996). 자연(3-4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1. 교육부(1996).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슬기로운 생활(1-2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2. 교육부(1996).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자연(3-4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3. 교육부(1997). 자연(5-6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4. 교육부(1997).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자연(5-6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5. 교육인적자원부(2001). 과학(3-6학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6. 교육인적자원부(2001). 슬기로운 생활(1-2학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7. 교육인적자원부(2001).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슬기로운 생활(1-2학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8. 교육인적자원부(2001).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자연(3-6학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 권치순(2010). 제6차 및 제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의 STS 내용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1), 9-17.
  20. 김상달, 이용섭, 이상균(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6(6), 461-468.
  21. 김충섭(2007). 우주의 발견, 서울: (주) 도서출판 북스힐.
  22. 김희수(2002). 웹기반 지구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3(7), 531-542.
  23. 남철우, 김석중(2000). 교과교육과 초등과학교육론, 서울: 학문사.
  24. 문교부(1954). 과학공부(1-6학년),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5. 문교부(1959). 자연(1-6학년),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6. 문교부(1965). 자연(1-4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7. 문교부(1966). 자연(5-6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8. 문교부(1967). 국민학교 학습지도 지침 자연(1-3학년, 5-2, 6학년), 교학도서주식회사.
  29. 문교부(1973). 자연(1-6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0. 문교부(1982). 국민학교 교사용 지도서 슬기로운 생활(1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1. 문교부(1982). 국민학교 교사용 지도서(2-6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2. 문교부(1983). 슬기로운 생활(1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3. 문교부(1983). 자연(2-6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4. 문교부(1989). 국민학교 교사용 지도서 슬기로운 생활(1-2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5. 문교부(1989). 국민학교 교사용 지도서 자연(3-6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6. 문교부(1989). 슬기로운 생활(1-2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7. 문교부(1989). 자연(3-6학년),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8. 박창희(1992). 국민학교 자연과 교육과정의 변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배진호, 정현태(2005).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과학 생명영역에 대한 학습차원의 하위 범주 분석. 초등과학교육, 24(3), 203-213.
  40. 손양옥(2004).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변천에 관한 연구, 3차-7차 교육과정 물질 영역을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 학위 논문.
  41. 신동희(1999). 교육과정 목표에 따른 교과서 내용 분석: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 20(6), 605-612.
  42. 신동희(2000). 국내 지구 과학 교육 연구의 동향과 나아갈 방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1(4), 479-487.
  43. 윤홍식, 민영기, 이시우, 홍승수, 강용희, 이형목, 김용하, 권석민, 김용기(역)(1998). 우주로의 여행, 서울: 청범출판사.
  44. 이경화(2002). 제6차 및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 비교․분석.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이명제(2001).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과제, 한국지구과학회지, 22(3), 248-257.
  46. 이양락, 곽영순, 김동영(2005).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지구과학회지, 26(8), 759-770.
  47. 이종근(1993). 국민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내용 변천 비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이창진(2003). 한국 지구과학과 지구과학교육의 정체성과 학문분류. 교육연구논총, 24(2), 83-93.
  49. 임순홍(2003).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장명덕, 정철, 정진우(2001).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 양상, 한국지구과학회지, 22(4), 268-277.
  51. 정진우(1988). 탐구 지구 과학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 한국교원대학교 교원교육, 4(1), 25-33.
  52. 조인숙(1998).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생물 영역 학습 자료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최돈형, 이양락, 김재영, 노석구(1998). 남북한 초등학교 자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43-60.
  54. 최성희, 권치순(2006).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대기와 날씨에 관한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25(1), 15-28.
  55. 최현동(2009).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천문에 관한 내용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추계학술발표.
  56. Schubert, W. H. (1986). Curriculum: Perspectives, paradigm, and possibility, New York: Macmillan.
  57. Seeds, M. A., (2007). Horizons: Exploring the universe (9th Ed), Brooks/Cole, a division of Thomson Learning,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