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PBL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1.04.15
  • Accepted : 2011.04.28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To verify research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r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one classes of an elementary science-gifted class i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the research group is composed of twenty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During four weeks, the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instruction was executed in the reasearch group.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We look into detailly this,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basis science skill. The sub-factor 'expectation' of the science process skill effect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s. In conclusion,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an objec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progra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program.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2. 김선희, 김언주, 박은희, 심재영(2006). PBL 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5(3), 285-297
  3. 김세린(2010)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순식(2010).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 탐구수업이 영재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영재교육학회, 9(2), 37-63
  5. 문종성(2008). 초등 과학영재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과학수사 PBL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미진, 홍순원, 이상균, 박윤희, 이상봉, 손성현, 이용섭(2010). 초등과학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지구우주 분야. 한울기획.
  7. 성은모(2003). 인터넷 활용 문제중심 탐구학습이 과학탐구능력, 학업성취도, 파지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윤병호(1992). 국민학생의 과학적 태도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용섭, 이순연, 김대성, 정상영, 백호정, 조용남, 김묘정(2010). 초등학교 과학과의 자유탐구를 위한 PBL의 이론과 적용. 부산 : 으뜸출판사. 19-20, 27.
  10. 장병기, 이대형, 김남일, 이면우(2000). 초등학교 과학영재아를 위한 특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과학교육연구, 23, 21-34.
  11. 장성진(2004).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적용 효과 : '생물의 특성'을 주제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완호, 허명, 윤병호(1994). 국민학생의 과학적 태도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과학교육, 14(3), 265-271.
  13. 조연순(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16-17, 294.
  14. 최봉선(2009). PBL 기반 구성주의적 유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아동교육, 18(1), pp.267-283
  15. 최은열(2010). PBL기반 과학영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홍기철(2008). 문제중심학습이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과학연구, 39(3), 79-110
  17. Barrows, H. S. (1994). The tutorial process. Springfield, IL: Southen Illinois Unversity School of Medicine.
  18. Gallagher, S. A. (1997). Problem-based learning: What did it come from, what does it do, and where is it going? Joura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0, 332-362. https://doi.org/10.1177/0162353297020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