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거주 가구와 임차가구의 주거이동 특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Residential Mobility between Home-owning Households and Renting Households

  • 양세화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 ;
  • 김묘정 (울산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Yang, Se-Hwa (Dept.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Ulsan Univ.) ;
  • Kim, Myo-Jung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Ulsan Univ.)
  • 투고 : 2011.03.02
  • 심사 : 2011.06.13
  • 발행 : 2011.06.30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mobility effects and planning discrepancies of home-owning households and renting households. The 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248 units residing in Ulsan and were studi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tests by cross-tabu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majority of the households did not experience a change in types of housing structure or ownership after the residential mobility. However, the housing size increased after residential mobility, showing that most moves were due to the deficit of housing sizes. In terms of future mobility pla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ome-owning households and renting households. More than two-thirds of the renting households were willing to move within 2-4 years to obtain home ownership. On the other hand, most home-owning households were willing to move for housing size, education of the head, and investment purposes. Compared to the forty-four percent of the home-owning households, seventy-two percent of the renting households were willing to relocate, which shows the effects of unstable housing circumstance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울산대학교

참고문헌

  1. 곽인숙(1992). 임차가구의 주거이동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논문집, 14(2), 103-116.
  2. 김종구(2001). 전.월세 임차인 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3. 김준형․최막중(2009). 지역주택가격이 임차가구의 점유형태와 주거입지 이동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4(4), 109-118.
  4. 김혜정(1992). 주거이동 주기 모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혜영(1991). 가족형성 및 미취학기 가구의 주거이동 성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남희(1995). 신도시로 이주한 거주자의 주거수준과 주거만족도 변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신수영(2010). 기혼가구의 생애 첫 주택 소유 과정에 관한 코호트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안종현(2010). 가구생애주기에 따른 첫 주택구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양세화(1998). 울산시 거주가구의 주거이동 효과 분석. 주택연구, 6(2), 87-105.
  10. 양현정(2003). 신도시 아파트 거주가구의 근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 계획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윤복자(1992). 도시 저소득층 가구의 주거이동 성향에 관한 분석. 생활과학논집, 6, 129-142.
  12. 윤복자․박남희․진미윤(1997). 신도시 거주자의 주거이동 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8(1), 49-56.
  13. 이경희․윤정숙․홍형옥(1993). 주거학개설. 문운당.
  14. 이봉한․정창무(2007). 수도권 지역 자가주택 거주 가구의 이주요인에 대한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7추계정기학술대회논문집, 1307-1313.
  15. 이성해․김철수(1996). 대도시 주민의 주거만족도 연구(II): 주거이동을 중심으로. 사회조사연구, 11(1), 47-58.
  16. 장승재(2003). 공공임대아파트의 거주특성과 주거이동의식에 관한 연구 : 영구임대와 50년 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지, 14(3), 93-100.
  17. 전남일․양세화․홍형옥(2009). 한국주거의 미시사. 돌베개.
  18. 조재순(1992). 주거이동을 통한 가족의 주거환경 변화조정. 한국주거학회지, 3(1), 1-19.
  19. Ineichen, B.(1972). Home Ownership and manual worker's life-style. A Sociological Review, 20, 3, 391-412.
  20. Morris, E. W. & Winter, M.(1978). Housing, family, and society. N.Y.: John Wiley & Sons.
  21. Park, S. K.(1989). Retrospective, prospective, and potential mobility: A study of housing adjustment. Master's thesis. Iowa State University, Ames, IA, USA.
  22. Rossi, P.(1955). Why families move. Glencoe, Il.: Free Press.
  23. Rex, J. A. & Moore. R. (1967). Race, Community and Conflict.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