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Received : 2011.04.05
  • Accepted : 2011.06.1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young children's ability to prepare for climate change. The program consists of 15 30-minute sessions. 38 5-year-olds (23 boys and 15 girl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The effects of this program were evaluated by the pre-school children's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preventing climate chang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xperimental effect for knowledge of how to prevent climate chang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knowledge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experimental effect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for preventing climate chang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problem solving abilities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program evaluation revealed that this program was helpful for preparing young children for climate change.

Keywords

References

  1. 곽은복. (2000). 유아안전교육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개소 (2009, 7. 8) 파이낸셜뉴스, p. 5
  3. 권기남. (2005). 유아환경교육프로그램이 지식, 정서적태도, 행동통제감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승우. (2000). 환경보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영희, 이장희. (2009). 유아의 자연친화 교육프로그램이 자연친화적 지식 및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3), 331-341.
  6. 김정원. (2003). 문학을 활용한 유아 환경교육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4(6), 95-115.
  7. 김진희. (2004). 안전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유형이 유아의 안전 문제해결 사고능력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동해안 수온 36년간 $0.82^{\circ}C$ 상승 (2008, 8, 5) 국민일보, p. 7.
  9. 박희준. (2002). 극놀이를 통한 교통안전교육이 유아의 교통안전 문제해결사고와 교통안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서유미. (2007). 현장학습을 통한 유아의 교통안전교육이 교통안전지식 및 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신경희. (2003). 환경교육 실시에 따른 유아의 변화 분석.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신금호. (2008). 유치원 환경을 활용한 유아 환경교육 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2(4), 399-415.
  13. 신민숙. (1998). 유치원에서의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유혜숙. (1999). 유아환경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상기후현상. (2009, 10. 1). 기후변화홍보포털사이트, 자료검색일 2010, 9. 7, 자료출처 http://www.gihoo.or.kr/portal/index.jsp
  16. 이인숙. (2004). 동화짓기 활동을 통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 해결사고와 안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2100년 북극의 얼음이 녹고 해수면이 상승된다 (2011, 5. 9) 서울신문, p. 3
  18. 임복선. (2004). 환경교육 전.후의 초등학교 학생의 환경보전지식과 환경보전행동.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한영숙, 최태식. (2005). 경험중심의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6(6), 237-245.
  20. 한태현. (2001). 유치원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환경보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홍지명. (2006). 환경동화를 활용한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존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환경부. (2009). 기후변화 교육 교재(초등학교 고학년용). 서울: 환경부.
  23. Basile, C. G. (2000).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catalyst for transfer of learning in young children. The Journal Environmental Education, 32(1), 21-27. https://doi.org/10.1080/00958960009598668
  24. Bower, L. (1998). Why teach environmen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very Child, 4(4), 16-17.
  25. Davis, J. (1998). Young childr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6(2), 117-122. https://doi.org/10.1023/A:1022911631454
  26. Dresner, M., & Gill, M. (1994). Environmental education at a summer nature camp.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5(3), 35-41. https://doi.org/10.1080/00958964.1994.9941956
  27. Lavanchy, S. (1993). Environmental education: How should we face i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25(1), 37-41. https://doi.org/10.1007/BF03174629
  28. Musser, L. M., & Diamond, K. E. (1999).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0(2), 23-30. https://doi.org/10.1080/00958969909601867
  29. Wilson, R. (1996).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7(4), 28-33. https://doi.org/10.1080/00958964.1996.9941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