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hange of Employment on Job Insecurity and Career Commitment Perception among Cooks in Deluxe Hotels

특급 호텔의 고용환경 변화 요인이 조리사의 직무 불안정성과 경력 몰입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Gwak, Da-Young (Dept. of Culinary & Food Service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
  • Park, Jeong-Hwan (Dept. of Culinary & Food Service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
  • Yoon, Hye-Hyun (Dept. of Culinary Service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곽다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 박정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 윤혜현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 경영학과)
  • Received : 2011.04.07
  • Accepted : 2011.06.1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changed employment environment in full-time cooks at deluxe hotels on job insecurity and career commitment. Based on total 389 hotel cooks obtained from an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a research model and verified total 2 hypotheses with the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of the model were tes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SEM results show that layoff(${\beta}$=0.326), an organization structure(${\beta}$=0.237), irregular workers(${\beta}$=0.200) among changed employment environment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insecurity. Also, job insecurit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areer commitment. Accordingly, the changed employment environment in workers at deluxe hotels causes job insecurity, making them try harder to stay in an organization. Therefore, motivation is needed for employees' career commitment because the better job insecurity is managed, the more career commitment they have.

본 연구는 특급호텔의 정규직 조리사 집단의 고용불안정이 직무불안정성 및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총 389명의 특급호텔 정규직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2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고 분석결과, 고용환경 변화요인 중 정리해고 증가인식(${\beta}$=0.326), 조직구조 변화인식(${\beta}$=0.237), 비정규직 증가인식(${\beta}$=0.200) 순으로 직무 불안정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직무 불안정성(${\beta}$=0.340)은 경력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특급호텔의 고용환경 변화가 종사원에게 직무 불안정성을 느껴 결론적으로는 경력을 쌓으면서 조직에 머물기 위해 더욱 노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직무 불안정을 잘 관리할수록 종사원의 경력몰입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종사원의 경력몰입을 위해 동기부여를 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