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ountry-of-origin image of Beef on Consumer's Quality Percepti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쇠고기 원산지 이미지가 소비자 품질지각,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Choi, Won-Sik (Dept. Culinary and Food Service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
  • Lee, Soo-Bum (Dept. of Hospitality Management, Hotel & Tourism College, Kyung Hee University)
  • 최원식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
  • 이수범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Hospitality 경영학부)
  • Received : 2011.03.15
  • Accepted : 2011.06.0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untry of origin image of beef on consumers quality percepti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nsumers who have purchased beef in Seoul during a two-week period from December $27^{th}$, 2010 to January $10^{th}$, 2011, but only 244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country - of-origin image of beef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consumers quality percepti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consumers quality perception had positive relations with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Third, consumer's attitude had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tion. In order to enhance the country-of-origin image of beef, cows should be rais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Having regular checkups and using good quality feed would produce reliable products. As well, in order to strengthen the image of beef, aggressive marketing strategies are also recommended.

본 연구의 목적은 쇠고기 원산지 이미지가 소비자 품질지각, 태도 및 구매 의도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실증 분석 대상자는 서울 지역 소재인 쇠고기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27일부터 2011년 1월 10일까지 15일 동안 3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설문 56부를 제외한 244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 하였다. 첫째, 쇠고기 원산지 이미지는 소비자들의 품질지각, 태도 및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를 가진다. 둘째, 소비자들의 품질지각은 소비자 태도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 관계를 가진다. 셋째, 소비자의 태도는 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쇠고기 원산지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소비자 품질지각, 태도 및 구매의도 모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아래와 같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쇠고기의 원산지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쇠고기를 친환경적으로 사육하고, 정기적인 검진 통을 통하여 위생적이고 안정적인 제품 생산을 하고 이에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쇠고기 이미지를 증대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