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홀로그래피의 공간 대역폭

Space-bandwidth product in digital holography

  • 발행 : 2011.06.30

초록

디지털 홀로그래피는 가간섭성 광원을 이용하여 광파의 위상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홀로그래피 방식의 광파 재생은 광파를 산란시키는 3차원 대상물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이상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으로 여겨진다. 디지털 홀로그래피에서 광파의 샘플링 영역과 그 대역폭의 곱은 공간 대역폭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공간 대역폭은 디지털 홀로그래픽 시스템의 능력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수치이다. 공간 대역폭은 샘플링 개수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focal plane array (FPA)나 spatial light modulator (SLM)의 픽셀 개수와 일치한다.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로 기존의 디스플레이가 가지는 크기와 시야각 수준의 광파를 표현하고자 한다면 매우 큰 공간 대역폭이 요구된다. 따라서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공간 대역폭을 늘리기 위한 방법은 꾸준히 연구되어 오고 있으며 최근 주목할 만한 시스템들이 제안되었다. 공간 대역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SLM을 이용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에서 가시 부피와 해상도에 대해 논하고, 최근 주목 받고 있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의 공간 대역폭을 정리하였다.

키워드

참고문헌

  1. J. W. Goodman, Introduction to Fourier Optics, 3rd ed. (Roberts & Company Publishers, 2004).
  2. S. Lim, K. Choi, J. Hahn, D. L. Marks, and D. J. Brady,"Image-based registration for synthetic aperture holography," Optics Express 19, 11716-11731 (2011). https://doi.org/10.1364/OE.19.011716
  3. http://disp.duke.edu/ComputationalHolography/WideApertureHolography/index.ptml
  4. D. J. Brady, Optical Imaging and Spectroscopy, (Wiley, 2009).
  5. J. Hahn, H. Kim, Y. Lim, G. Park, and B. Lee, "Wide viewing angle dynamic holographic stereogram with a curved array of spatial light modulators," Opt. Express 16, 12372-12386 (2008). https://doi.org/10.1364/OE.16.012372
  6. M. Stanley, M. A. Smith, A. P. Smith, P. J. Watson, S. D. Coomber, C. D. Cameron, C. W. Slinger, and A. D. Wood, "3D electronic holography display system using a 100 mega-pixel spatial light modulator," Proc. SPIE 5249, 297-308 (2004).
  7. Yasuhiro Takaki, Masahito Yokouchi, and Naoya Okada, "Improvement of grayscale representation of the horizontally scanning holographic display," Opt. Express 18, 24926-24936 (2010). https://doi.org/10.1364/OE.18.024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