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기 요통에 대한 침치료와 우황.웅담.사향약침 병행치료의 효과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Effectiveness between Acupuncture and its Cotreatment with Calculus Bovis.Fel Ursi.Moschus Pharmacopuncture on the Treatment of Acute Low Back Pain

  • Jeong, Si-Yeong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Je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
  • Park, Zae-Woo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Je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
  • Shin, Jung-Mi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Je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
  • Kim, Ji-Yo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Je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
  • Youn, In-Yae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National Medical Center)
  • 투고 : 2011.07.12
  • 심사 : 2011.08.07
  • 발행 : 2011.08.20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alculus Bovis Fel Ursi Moschus(BUM) pharmacopuncture on the treatment of acute low back pain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patients with acute low back pain who were treated in Dep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Je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November 1, 2010 to June 30, 2011. Thes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In one group(control group), patients were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in the other group(experimental group), patients were treated with both acupuncture and BUM pharmacopuncture. For evaluating change of pain, visual analog scale(VAS)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Results : Each group had significant decrease in VAS and ODI after each treatment. Experimental group had more significant decrease in VAS after each treatment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cotreatment of acupuncture and BUM pharmacopuncture on acute low back pain patients can be recommended as a useful therapy.

키워드

참고문헌

  1.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하). 파주 : 집문당. 2008 : 72-80.
  2. 대한신경외과학회. 신경외과학. 제2판. 서울 : 중앙 문화사. 2002 : 457, 467-8.
  3. 김경철. 일차진료의를 위한 요통 관리 전략. 가정의학회지. 1999 ; 20(5) : 634-46.
  4. 김호준. 미세전류 전침이 요통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1, 5, 25.
  5. 대한약침학회 학술위원회. 약침학. 서울 : 엘스비아코리아. 2008 : 3-8, 12-7, 241-50.
  6. Andersson GBJ, Brown MD, Dvorak J, Herzog RJ, Malter A, McCullock JA, Saal JA, Spratt KF, Weinstein JN. Consensus summary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lumbar disc herniation. Spine. 1996 ; 21 : 75-8. https://doi.org/10.1097/00007632-199612151-00009
  7. 최익선, 최용태. 요통증의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경희대학교논문집. 1978 ; 1(1) : 159-87.
  8. 이윤호, 남상수, 이현종. 요통의 통증과 기능 장애 평가에 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2) : 137-48.
  9. Fairbank JCT, Davis J, Couper J, O'Brien J. The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Physiotherapy. 1980 ; 66 : 271-3.
  10. 박현선. 동씨침을 이용한 요각통 환자의 운동제한 개선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7 ; 14(2) : 15-34.
  11. 조비룡, 조희경, 김종성. 일차의료에서 요통의 관리. 가정의학회지. 2000 ; 21(5) : 586-99.
  12.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제6판. 서울 : 최신의학사. 2006 : 617-9, 1155.
  13. 김달호, 이종형 역. 황제내경 소문. 서울 : 의성당. 2001 : 338, 852-65.
  14. 송계화, 박기범, 이진석, 김대중. 급성기 요통의 치료에 있어서 근위취혈과 원위취혈의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4) : 61-8.
  15. 허준. 동의보감. 서울 : 대성문화사. 1992 : 422-9.
  16. 고도일. 테이핑 근이완자극요법. 서울 : 푸른솔. 2000 : 25.
  17. 우종윤, 권도윤, 이수아, 성인연.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보존적 치료 후 경과관찰. 대한재활의학회지. 1994 ; 18(2) : 618-28.
  18. 백승일, 안중철, 김영진, 김형석, 권기록. 대한침구학회지에 게재된 약침 관련 논문의 유형 분석.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6) : 19-27.
  19. 유은주, 김종인, 고형균. 웅담․우황․사향 약침액이 Nitric Oxide 소거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4) : 115-21.
  20. 대한약침학회. 약침요법시술지침서. 서울 : 한성인쇄. 1999 : 143.
  21. 정경연, 김갑성, 윤종화. 우황․웅담․사향 복합제제 약침자극이 LPS유발 관절염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1) : 113-28.
  22. 도원석, 김경호, 김갑성. 유백피, 계지, 우슬, 봉독 및 우황, 웅담, 사향 복합제제 약침이 mouse의 LPS유발 관절염의 혈액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1) : 157-69.
  23. 정경연, 김갑성. 사향․우황․웅담 복합제제(OK) 약침이 백서의 류마티스 관절염 중 혈액학적인 변화 및 Collagen의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9 ; 16(3) : 255-68.
  24. 황병태, 나창수, 황우준. 사향․우황․웅담 약침이 부자로 유발된 간손상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관찰. 대한약침학회지. 1997 ; 1(1) : 1-21.
  25.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본초학. 서울 : 영림사. 2000 : 208, 225, 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