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줄넘기 운동이 남녀중학생의 신체조성과 건강관련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ic Rope-skipping On Body Composition and Health Related Blood Compon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 투고 : 2011.10.18
  • 심사 : 2011.11.30
  • 발행 : 2011.12.31

초록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ffect of music Rope-skipping on body composition and health related blood compon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 has been performed for 12 weeks, varying the exercise intense depending on preliminary stag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stage and conclusion is as follows based on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blood components related to health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ll males and females showed decreased,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t in body fat mass and body fat percentage. Fat-free mass of males showed decreased and females had an increased,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t. Regarding body-mass index of males and females were on the decreased,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t. As for hematocrit of males and females statistically grew by about 4.53%(p<.05). The number of erythrocyte and leukocyte in males and females showed increased,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ce. Concerning hemoglobin of males and females showed a increased(p<.01). The number of thrombocyte of males and females were on the increased,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t. Cholesterol in males and females were on the decreas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lood glucose of males and females were on the decreased(p<.05).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정록(2000). 조깅 및 줄넘기 운동과 김치 pill 섭취가 비만여중생의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기명(2007). 12주간의 스쿼시운동이 남자대학생의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도윤(2003). 운동강도와 운동수행 능력에 따른 혈액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선호(2001).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 혈청지질, leptin 및 anabolic hormone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용재. 설현택. 원효원(2011) 스포츠클럽지도교사의 리더십 행동 유형이 선수심리에 미치는 영향 23(1).
  6. 김영섭(2004). 음악줄넘기 운동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비만중학생들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재원(2003). 건강한 성인에서의 규칙적인 운동량과 백혈구 수와의 연관성,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태왕(1999). 고령자의 유산소 운동이 건강에 관련된 체력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희경(2003). 유산소 운동이 중년여성의 체력 및 건강관련 생리적 요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상회(2007). 12주 유산소운동 강도차이가 비만 중년여성의 심폐지구력과 혈중지질,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11. 박준배(2008). 24주간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웰빙댄스)이 비만 중년여성의 체지방률, 혈액성분 및 체력요인에 미치는 효과, 건양대학교 보건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배용정(2008). 음악줄넘기 운동을 통한 중학생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백은진. 이만균(2007). 8주간의 걷기와 줄넘기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초등학생의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6(6), 468-469.
  14. 손주원(1999). 10주간의 줄넘기 운동이 비만 여학생들의 체지방율, VO2max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손현식(2003). 지구성 달리기 선수의 백혈구에서 운동으로 유도되는 HSP70의 발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송치응(2001). 운동유형에 따른 신체구성과 혈액성분 변화,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18, 41.
  17. 윤은정. 박수현. 이 한. 안의수(2004). 장기간 트레이닝이 안정 시 및 고강도 운동 후의 혈액응고와 항응고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1), 531.
  18. 이권일(2006). 줄 없는 줄넘기 운동이 과체중 여성의 신체조성, 혈청지질, 혈압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미은(2003). 줄넘기 운동이 여자 중학생의 혈중지질 성분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임은애(2009). 음악활동시간의 교사질문특성 탐색,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지 12(3), 347.
  21. 임은애(2008). 유아음악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지 20(2), 266.
  22. 장한기. 최수석(2011)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지 23(2).
  23. 정필재(2007). 중량부하 음악줄넘기 운동이 여중학생의 신체조성과 혈액성분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혜림(2007). 정신지체 학생들의 음악줄넘기 운동이 신체구성, 기초체력 및 호흡 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조연숙(2009). 아쿠아로빅스 운동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승철(2007). 음악줄넘기 운동이 중학교 여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원탁(2002). 줄넘기 운동이 남자 중학생의 신체조성 및 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한지연(2007). 8주간의 줄넘기와 걷기의 복합 트레이닝이 일반 중년 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혈중지질 및 인슐린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