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for Radio Protection According to a Possible Danger of Exposure During dental X-ray Examination

치과 방사선 검사 시 노출 위험성에 따른 피폭선량 방어연구

  • Received : 2011.07.19
  • Accepted : 2011.11.20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Generally, X-ray examinations for dentistry use low energy radiation. It explains that the radiations are mainly absorbed to a human body because of the weak permeability. We made up some counterplans for decrease in radiation exposure, when guardians and radiologists are overexposed owing to unavoidable circumstances. The equipments for the test are GX-770 and CRANEX TOME CEPH which are used for various exams. Besides we measured the radiations in the projection room and in the control room using model 2026c and 20X6-1800. According to the test, the measurement value in the control room was low dose below $20{\mu}R$, the maximum dose in the projection room was $702.8{\mu}R$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back dose was higher than lateral one. As the result, if we use a shielding door, it's effective for radioprotection and when we didn't prepare protectors, we should secure appropriate distance and be situated at the side area($90{\sim}135^{\circ}$) on the basis of centeral radiation. That way will provide valuable aid for radioprotection.

일반적으로 저 에너지 방사선 조사로 검사하게 되는 치과 영역에서는 투과력이 약해 인체에 흡수되는 양이 많다. 치과 영역에서 방사선검사 시 부득이하게 방사선 노출을 받게 되는 방사선 작업종사자나 환자의 보호자가 위치와 거리에 따른 방사선 피폭 선량의 감소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진단용 발생장치인 GX-770, CRANEX TOME CEPH와 조사선량 측정기인 Ion chamber model 2026c, Reader기 20X6-1800을 사용하여 구강내 검사와 구강외 검사의 각각 검사실과 조정실에서의 관전압의 변화, 관전류와 조사시간의 변화, 조사방향의 변화에 따라 선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최고선량이 검사실 안에서는 평균 702.8 ${\mu}R$으로 측정 되었으며, 조정실 안에서 측정하였을 경우 20 ${\mu}R$이하의 낮은 선량을 보였으며, 120cm 거리에서 후방검사보다 측방검사가 낮은 선량으로 나타났다. 방사선검사시 위치와 거리에 따른 조사선량을 비교 분석하여, 적절한 거리 확보와 조사되는 중심방사선을 기준으로 측방($90{\sim}135^{\circ}$)에 위치함으로써 방사선 방어에 도움을 줄 것이며, 차폐문을 이용하여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정홍량․임청환․이만구, "전국 종합병원 방사선사 의 개인 폭선량에 대한 고찰", 방사선기술과학, Vol. 28, No. 2, pp.137-138, 2005.
  2. 강정기․정천영․주상규, "두부방사선사진 촬영 시 주요 조직의 방사선흡수선량", 대한방사선사협회지, Vol. 25, No. 1, pp.278-282, 1999.
  3. 방사선보건관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편저, 방사선보건 관리학, 청구문화사, pp.103, 2004.
  4. 현주․김성수․김영일․임한영․김홍태․이후민․ 김학성․이상석, "X선 촬영 시 산란선 방향 의존성에 관한 연구", 한방사선기술학회지, Vol. 18, No. 1, pp.64-65, 1995.
  5. 권대철․동경래․정재은․이경희․김수경․김욱태․이청재 송운홍․마상철, "파노라마 촬영의 피폭선량에 관한 문헌분석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Vol. 33, No. 1, pp.1-6, 2010.
  6. 김병삼․최갑식․김진수, "파노라마 촬영시 두경부 주요기관에 대한 흡수선량 분포", 치과방사선, Vol. 20, No.2, pp.253-264, 1990.
  7. 김애지․나경수․도시홍․김현자․유명진, "각이등분법 및 평행법에 의한 전악 구내 표준 촬영시 두경부 피부 수선량 비교", 치과방사선, Vol. 20, No. 2, pp.315-333, 1990.
  8. 조봉혜․나경수․이애련, "파노라마 촬영시의 두경부 주요기관의 등가선량, 유효선량 및 위험도", 치과방사선, Vol. 25, No. 2, pp.437-445, 1995.
  9. AEA: International basic safety standards for protection against ionizing radiation and the safety of radiation source. IAEA safety series No.115, Vienna, pp.279-280, 1996.
  10. Kim EK, "Leakage and scattered radation from hand-held dental x-ray unit", Korean Oral Maxillofacial Radiol, Vol. 37, No. 2, pp.65-68, 2007.
  11. American Dental Association an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The selection of patients for dental radiographic examinations", Chicago,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04.
  12. Goren AD, Lundeen RC, Dealhl ST 2nd, Hashimoto K, Kapa SF, Katz JO, et al, "Updated quality assurance self-assessment exercise in intraoral and panoramic radiography", Americ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Radiology Practice Committe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Vol. 89, No. 3, pp.369-374, 2000. https://doi.org/10.1016/S1079-2104(00)70104-1
  13. 송종순, "방사선 방어의 최적화 절차론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방어학회지, Vol. 19, No. 1, pp.2, 1994.
  14. 이삼선, "치과에서의 방사선안전관리",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지, Vol. 37, No. 3, 117, 2007.
  15. 박응천․김재덕, "산란 방사선이 치과용 방사선 필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지, Vol. 22, No. 1, pp90, 1992.
  16. 김유현, "방사선치료 장치의 Collimator와 Block에 의한 산란선이 조사선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Vol. 10, No. 1, pp.56, 1987.
  17. 임봉식, "한국에서 방사선 관련 종사자들의 개인피폭선량 실태에 관한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Vol. 29, No. 3, pp.185-187, 2006.

Cited by

  1.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towards the dental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s in Busan and Gyeongnam vol.14, pp.5,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5.673
  2. Current status of dental intraoral imaging devices and radiographic safety management vol.16, pp.2,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2.205
  3. Study on accuracy of panorama and CBCT through length measurement of wisdom teeth vol.7, pp.2, 2013, https://doi.org/10.7742/jksr.2013.7.2.131
  4. A study on the dependence of exposure dose reduction and image evaluation on the distance from the dental periapical X-ray machine vol.63, pp.9, 2013, https://doi.org/10.3938/jkps.63.1824
  5. Comparison of Dose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n Shooting Panorama and CBCT vol.7, pp.3, 2013, https://doi.org/10.7742/jksr.2013.7.3.175
  6. Analysis of Image Distortion by Mandibular Arch Form in Cone Beam CT and Panoramic Image vol.7, pp.4, 2013, https://doi.org/10.7742/jksr.2013.7.4.301
  7. Digital Thickness Measurement of a Transparent Plastic Orthodontic Device vol.72, pp.10, 2018, https://doi.org/10.3938/jkps.72.1129
  8. 소아 구내촬영 시 방사선량 평가 및 최적화 방안에 대한 연구 vol.44, pp.3, 2021, https://doi.org/10.17946/jrst.2021.44.3.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