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양훈. 기능적 전기자극을 이용한 보행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김경, 박영한, 배성수. 발 압력 측정계(F-mat과 F-scan) 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0;12(2):29-37.
- 김미정, 이수아, 김상규 등. 뇌졸중 환자의 보행 속도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4;18(6):736-41.
- 김은옥. 교각운동 시 복부 드로잉-인 방법이 요부 전만과 체간 및 하지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김택연. 내, 외 복사근과 요방형근에 브리지 운동이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김창영. 체간 안정화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체간 근력, 동적 균형감각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김효정. 체중이동훈련이 편측 뇌성마비 아동의 족저압 양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문재호, 이한수, 김민영 등. 한국 정상 어린이의 족저압 분포에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7;21(4):755-61.
- 박지원, 남기석, 백미연. 편마비 보행 시 족저압력중심의 이동특성과 동적균형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5;12(1):11-21.
- 배하석, 박창일, 신지철 등. 취학 전 정상 어린이의 보행 시 족저압 분포 및 족저압 중심의 이동경로 변화. 대한재활의학회지. 2001;25(6):1041-7.
- 염주노. 슬링운동치료와 신경발달치료를 이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이 경도 양하지마비 아동의 보행시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오근배. 뇌졸중환자의 중심 안정성 훈련이 자세조절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이봉춘. 인지행동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이재학. 수중치료를 통한 체간 근력 강화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앉기자세와 하지 근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전호영. 교각운동이 체형의 변화와 족압분포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최혜정, 정진욱. 6주간 집중 core stability training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활동체력 및 자세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008;17(4):505-514.
- Brill PW, Couzen GS. The Core Program. 1st ed. New York: Bantam Book. 2002.
- Davies PM. Steps to follow: a guide to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Berlin. Springer-Verlag. 1985.
- de Haart M, Geurts AC, Huidekoper SC et al.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6):866-95.
- Handa N, Yamamoto H, Tani T et al. The effect of trunk muscle exercises in patients over 40 years of age with chroni clow back pain. J Orthop Sci. 2000;5(3):210-6. https://doi.org/10.1007/s007760050153
- O'Sullivan PB.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clinical presentation and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management. Man Ther. 2000;5(1):2-12. https://doi.org/10.1054/math.1999.0213
- O'Sullivan S, Schmitz T.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Philadelphia. F. A. Davis. 2001:345-79
- O'Sullivan S, Schmitz T.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Philadelphia. F. A. Davis. 2001:345-79
- Perry J, Burnfield J.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California. SLACK Inc. 2010:3-45.
- Saunders SW, Rath D, Hodges PW. Postural and respiratory activatin of the trunk muscles change with mode and speed of locomation. Gait Posture. 2004;20(3):280-90.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3.10.003
- Standaert CJ, Weinstein SM, Rumpeltes J. Evidenceinformed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Spine J. 2008;8(1):114-20. https://doi.org/10.1016/j.spinee.2007.10.015
- Stevens V, Witvrouw E, Vanderstraeten G et al. The relevance of increasing resistance o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seated axial rotation. Physical Therapy in Sports. 2007;8(1):7-13. https://doi.org/10.1016/j.ptsp.2006.09.021
- Stevens VK, Coorevits PL, Bouche KG et al. The influence of specific training on trunk muscle recruitment patterns in healthy subject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 Man Ther. 2007;12(3):271-9. https://doi.org/10.1016/j.math.2006.07.009
- Urquhart DM, Hodges PW, Allen TJ et al. Abdominal muscle recruitment during a range of voluntary exercises. Man Ther. 2005;10(2):144-53. https://doi.org/10.1016/j.math.2004.08.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