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lame Retardant Treated Pinus Densiflora

방염처리 육송의 연소특성 연구

  • 최정민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 노호성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 진영화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Received : 2011.03.21
  • Accepted : 2011.06.1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 was evaluated for Pinus densiflora, used as a building material in Hanok, which were treated with two different flame retardant method. The specimen was brushed with flame retardant liquid two or three times and then let the specimen dehydrated during 24 h for spreaded treating. And the other specimen was soaked in the liquid for 72 h. The test methods were inflammability test using meker burner and heat release rate test using cone calorimeter. As a result for the tests, flame retardant treated specimens met the requirements of the inflammability and the spreaded treated method was more efficient than immersed method. The spreaded treated specimen had lower combustive properties than immersed specimen in TTI (time to ignition), PHRR (peak heat release rate), MLR (mass loss rate) and THR (total heat release).

본 논문에서는 한옥 부재로 사용되는 육송을 대상으로 도포법과 상압함침법의 방염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각 연소특성을 평가하였다. 도포 처리는 시험체 표변에 2-3회 붓칠한 후 24h 건조하는 것을 3회 반복하였고, 상압함침 처리는 시험체를 약제 속에 72h 동안 함침시켜 처리하였다. 연소특성 평가방법으로는 멕켈버어너를 사용한 방염성능 시험,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한 열방출률 시험방법을 적용하였다. 시험 결과 방염성능에 있어서 두 가지 방법으로 처리한 시험체는 모두 현재 합판에 대한 성능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상압함침 처리보다는 도포 처리한 시험체의 방염성능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열방출률 시험 결과로는 착화까지의 시간, 최대열방출률, 질량감소율 총방출열량 등의 지수에서 상압함침 처리보다는 도포 처리한 시험체가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근 10년간 화재통계 현황, 소방방재청, pp.55-56 (2005).
  2. Michael J. Karter, Jr., "Fire loss in the United States during 2009", NFPA, p.1(2010).
  3. E. Baysal, M. Altinok, M. Colak, S.K. Ozaki, and H. Toker, "Fire Resistance of Douglas fir (Psedotsuga menzieesi) Treated with Borates and Natural Extractives", Bioresour. Technol., Vol.98, pp.1101-1105(2007). https://doi.org/10.1016/j.biortech.2006.04.023
  4. 하동명, "건축 내장재의 Flashover 시간 및 열방출량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18, No.3(2004).
  5. 소방방재청고시 제2009-31호(2009.8), "방염성능의 기준", pp.2-4(2009).
  6. ISO 4770, "Sawn timber - Determination of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of a Lot"(1981).
  7. M. Hirschler, "Thermal Decomposi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pp239-300, American Chemical Society Symposium Series 797(2001).
  8. ISO 5660-1, "Reaction-to-Fire Tests 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 - Part 1: Heat Release Rate (Cone Calorimeter Method)" (2002).
  9. M.J. Spearpoint, "Predicting the Ignition and Burning Rate of Wood in the Cone Calorimeter Using an Integral Model", pp.30-46. NIST GCR 99-7E75, U.S.A.(1999).
  10. T.R. Hull and K.T. Paul, "Bench-scale Assessment of Combustion Toxicity-A Critical Analysis of Current Protocols", Fire Safety Journal, Vol.42, pp.340-365(2007). https://doi.org/10.1016/j.firesaf.2006.12.006
  11. 오규형, 김황진, 이성은, "방염 처리에 따른 화재지연 효과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3, No.2, pp.111-116(2009).
  12. 박형주, 오규형, 김응식, 김홍, "난연처리된 Douglas Fir의 탄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19, No.2, pp.105-110(2005).
  13. 신백우, 송영호, 이동호, 정국삼, "합성목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4, No.6, pp.120-125(2010).
  14. 정영진, 진의, "실온에서 건조된 리기다 소나무와 밤나무의 연소특성", Vol.24, No.3, pp.86-92(2010).
  15. 김인범, 현성호, "방염처리된 단청목재의 방염성능 및 유독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3, No.5, pp.66-71(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