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Sponge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스펀지형 흡음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1.02.21
  • Accepted : 2011.06.1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paper studie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onge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extensively used on building interior. To estimate of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 carried out combustion experiment of general type and incombustibility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And then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sponge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we measured heat release rate (HRR) and smoke density (Ds) of the sound-absorbing materials using by a cone-calorimeter. From the combustion experimental results, general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were rapid burned simultaneously with ignition and the incombustibility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had all gone out simultaneously with ignition. Measured results of HRR and Ds were not satisfied KS F ISO 5660-1 and IMO FTP Code, form the results, the sponge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were ill-suited for using building interior.

본 논문은 건축물 내부 마감 재료로 사용되는 스펀지형 흡음재의 연소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소특성 평가를 위하여 일반 재질 및 난연 재질의 스펀지형 흡음재를 대상으로 연소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건축용 내부 마감 재료 사용의 적합성 평가를 위하여 콘칼로리미터법을 이용한 열방출률 및 연기밀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연소특성 실험 결과, 일반 재질의 흡음재는 착화와 동시에 급속히 연소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난연 재질의 흡음재는 착화와 동시에 소화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난연 재질의 흡음재에 착화시간을 길게 하는 경우, 연소가 진행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열방출률 및 연기밀도는 한국산업규격 KS F ISO 5660-1 및 국제해사기구의 FTP Code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스펀지형 흡음재는 건축용 내부 마감 재료로 사용하기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재용 외, "부산실내사격장 화재의 연소 확대 경로 및 발화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2010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pp.107-111 (2010).
  2. 법률 제9330호, 2009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3. 법률 제10751호, 2011 소방기본법.
  4. 법률 제9199호, 2008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5. 한국산업규격 KS F 2819: 2005 건축용 얇은 재료의방염성시험.
  6. 국토해양부 고시 2009-0866호 난연재료의 열방출률 실험(2009).
  7. 한국산업규격 KS F ISO 5660-1: 2008 연소성능시험-열방출률, 연기발생, 질량감소율-제1부: 열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
  8.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FTP Code, Fire Test Procedure Code Part 2: Smoke and Toxicity Test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