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Top Dressing and Harvest Time on Growth, Feed Value, and Anthocyanin Content of Colored Barley

추비시기와 수확시기에 따른 유색보리의 사료가치 및 안토시아닌 함량

  • Received : 2011.05.0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top dressing of nitrogen and harvest time on the growth, feed value and anthocyanin content for developing functional feed of colored barley. A colored barley cultivar, Boanchalbori, was tested in this experiment. Top dressing was applied at seven separate growth stages, regeneration time (RT), and intervals of 20, 30, 40, 50, 60, and 70 days after RT, and harvested at different time from 20 days after heading (DAH) to 40 DAH with 10 days interval in spli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Plant height was increasing with earlier top dressing, but not affected by harvest time. Percent dry matter was increasing with earlier top dressing and later harvests.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with later top dressing and harvests, but percent NDF, ADF and TDN was not significant. Total anthocyanin content was increased with earlier top dressing, included increasing C3G (cyanidin-3-glucoside) and delphinidin. The C3G and delphinidin were detected from 25 DAH and P3G (pelargonidin-3-g1ucoside), cyanidin and perlagonidin from 30 DAH. Their conten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s harvest was delayed. This experiment provides some interesting results with respects to optimum top dressing and harvest time for the functional feed production of the colored barley.

이 연구는 기능성 사료용 보리의 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식물체 전체에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겉보리인 보안찰보리 품종을 이용하여 추비 및 수확시기별 생육과 사료가치 및 안토시아닌 함량의 변화를 검토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추비가 빠를수록 유의하게 컸고, 수확시기에 따른 유의성이 없었으며, 건물률은 추비시기가 빠를수록,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높았다. 2. 단백질 함량은 추비와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높았으나, NDF, ADF 및 TDN 함량은 추비시기와 수확시기에 따른 유의성이 없었다. 3.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추비시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으며, 조성별로는 cyanidin-3-g1ucoside(C3G)와 delphinidin 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4. C3G와 delphinidin은 출수 후 25일, pelargonidin-3-glucoside (P3G), cyanidin 및 pelargonidin은 출수 후 30 일부터 검출되었으며, 수확시기에 늦어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NY, Washington DC, U.S.A.
  2. Delogu, G., N. Faccini, P. Faccioli, F. Reggiani, M. Lendini, N. Berardo, and M. Odoardi. 2002.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evaluation at two phenological stage of Sardinia Italy. Field Crops Res. 74: 207-215. https://doi.org/10.1016/S0378-4290(02)00002-3
  3. Goering, H. 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S. Gov. Print. Office., NY, Washington, DC.
  4. Harborne, J. B. 1988. Introduction to ecological biochemistry (3rd ed.). Academic press, London.
  5. Harborne, J. B. and C. A. Wiliam. 2000. Advances in flavonoid research since 1992. Phytochem. 55: 481-504. https://doi.org/10.1016/S0031-9422(00)00235-1
  6. Holland, C., W. Kezar, W. P Kautz, E. J. Lazowski, W. 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Des moines, IA.
  7. Kohyama, N., H. Ono and T. Yanagisawa. 2008. Changes in anthocyanins in the grains of purple waxy hull-less barley during seed maturation and after harvest. J. Agric. Food Chem. 56: 5770-5774. https://doi.org/10.1021/jf800626b
  8. Kong, J. M., L. S. Chia, N. K. Goh, T. F. Chia, and R. Brouillard. 2003. Analysi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nthocyanins. Phytochem. 64(5): 923-933. https://doi.org/10.1016/S0031-9422(03)00438-2
  9. Prior, R. L., X. Wu, and K. Schaich. 2005. Standardize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ic. Food Chem. 53: 4290-4302. https://doi.org/10.1021/jf0502698
  10. Walton, P. D. 1983.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cultivated forages. Reston Pub. Co, Reston Vir. p. 336.
  11. Yang, C. S., J. M Landau, M. T. Huang, and H. L. Newmark. 2001. Inhibition of carcinogenesis by dietary polyphenolic compounds. Annu. Rev. Nutr. 21: 381-406. https://doi.org/10.1146/annurev.nutr.21.1.381
  12. 片岡都雄. 1986. ブドウ果實の着色に關する-とくにアブツヅン 酸による着色の抑制について-. 香川大學農學部紀要 45: 1-48.
  13. 森 健太郎, 菅谷純子, 弦間 洋. 2004. ブドウ'黒王'の成熟期にお ける溫度が果実の着色およびアントシアニン関連酵素活性に及ぼす影響. 園学研 3(2): 209-214.
  14. 조장환, 한옥규, 이동진, 박문웅. 2004. 맥류생산과학. 도서출판 한림원. 서울. pp. 365-371.
  15. 최기준, 김원호. 2008. 한국에서 동계사료작물 생산과 이용.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년도 학술심포지엄 및 제46회 학술발표회. pp. 19-48.
  16. 조재영, 이동우, 조장환, 홍병희. 1969. 질소의 추비기 및 추비 방법이 소맥의 수량 및 수량요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7(1): 103-115.
  17. 조성경, 조철훈, 정사무엘, 김민규, 오현민, 이봉덕, 이수기. 2010. Quercetin의 급여가 산양의 사료이용성, 혈액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2(4): 297-304.
  18. 황종진, 성병렬, 연규복, 안완식, 이종호, 정규용, 김영상. 1985. 사료용 맥류 품종의 예취시기별 청예 및 건물수량과 영양가 비교. 한국작물학회지 30: 301-309.
  19. 장해동, 이제현, 홍성민, 정지홍, 김인호. 2010. 약용식물(Artemisia, Acanthopanax and Garlic)의 급여가 돼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2(2): 103-110.
  20. 전방욱. 2005. 식물생리학. 도서출판 라이프사이언스. 서울. pp. 183-183.
  21. 정일병, 안종남, 전병찬, 정숙근. 1987. 돼지에 대한 국내산 보리의 사료가치. 1. 동에너지 수준에서 육성비육돈에 대한 국내산 겉보리와 도입옥수수 대체효과. 농업시험장 논문집 29(2): 16-22.
  22. 주문갑, 임지수. 2002. 광 및 온도 처리가 상추의 수량과 엽록소 및 안토시아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14(2): 105-112.
  23. 김정갑, 양종성, 한민수, 이상범. 1988. 대맥 및 호맥의 건물생산성과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II. 생육단계별 화학성분, 소화율 및 에너지 함량변화. 한국축산학회지 30(3): 193-198.
  24. 권영업. 2003. 사료용 맥류의 생장해석, 사료가치 분석 및 최적 수확시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이인덕, 윤익석. 1978. Timothy 초지에 있어서 춘계의 질소시비 시기가 목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20(4): 383-387.
  26. 이정호, 이규호, 이영철, 오상집. 1994. 산란계 사료에 $\beta$-Glucanase 첨가가 보리의 이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금학회지 21(3): 195-205.
  27. 박태일, 한옥규, 서재환, 박기훈. 2008. 동계 사료작물의 신품종 육성현황 및 개발 계획. 한초지 2008년도 학술심포지엄 및 46회 학술발표회. pp. 49-73.
  28. 송태화, 한옥규, 윤성근, 박태일, 서재환, 김경훈, 박기훈. 2009.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수량 및 품질 변화. 한국초지학회지 29(2): 129-136.
  29. 윤성근, 박태일, 서재화, 김경훈, 송태화, 박기훈, 한옥규. 2009. 청보리 품종의 적정 수확시기 및 사료가치 평가.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29(2): 121-128.

Cited by

  1. Effect of Nitrogen Top Dressing Levels on Productivity, Feed Value, and Anthocyanin Content of Colored Barley vol.32, pp.2,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2.149
  2. Effects of Cooking Method and Pasteurization Treatment on Instant Thin Rice Porridge Added with Fruits and Vegetables vol.45, pp.4, 2016, https://doi.org/10.3746/jkfn.2016.45.4.569
  3. Characterization of a Rapeseed Anthocyanin-More Mutant with Enhanced Resistance to Sclerotinia sclerotiorum vol.39, pp.2, 2011, https://doi.org/10.1007/s00344-019-10011-4
  4. Naked Waxy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 'Heukbochal' with High Anthocyanin Content and Black Lemma vol.53, pp.3, 2021, https://doi.org/10.9787/kjbs.2021.53.3.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