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io-degradable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ulching Films Containing Rice By-product

벼 부산물을 함유한 생분해성 필름의 기계적 성질 및 분해 특성

  • Han, Sang-Ik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 Kang, Hang-Won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 Byun, Dae-Woo (Evergreen Co.) ;
  • Jang, Ki-Chang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 Seo, Woo-Duck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 Ra, Ji-Eun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 Kim, Jun-Young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 Choi, Kyung-Jin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한상익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강항원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변대우 ((주)에버그린) ;
  • 장기창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서우덕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나지은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김준영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최경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Received : 2010.11.08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blend films by rice by-product (rice-hull and rice-bran) and bio-degradable materials. The rice by-product was firstly prepared from the pulverizing for making fine powder. Bio-degradable materials could be prepared by melting at high temperature. The mixture of the fine powder of rice by-product and melted bio-degradable materials was then blended and cast into films. The obtained films were investigated on their morphology, secondary structures and properties by using SEM, ICP and ASTM, respectively. Mechanical properties and degradability of these film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o those of the PE films. Mechanical strength of bio-films was higher than that of PE films, however elongation ratio showed lower percent than that of PE film. In addition, bio-film could be degraded into fragments within 3 months under the field condition of normal upland crop cultivation. Bio-degradable mulching film indicated great potential for agronomic use as a new source of bio-degradable material.

작물의 멀칭재배에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필름의 개발과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생분해가 가능한 필름의 제조를 위해 벼 부산물인 왕겨와 쌀겨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2. 천연고분자를 이용하여 개발된 생분해성 필름의 기계적인 특성은 기존 멀칭필름과 비교해서 신장율은 낮으나 인장강도는 2배 이상 강함을 보였다. 그리고 파열점 비교에서도 멸칭필름은 뚜렷한 파열점이 존재하고 그 이후에는 같은 힘을 주어도 계속 늘어난 반면, 생분해성 필름은 서서히 늘어나며 점차 힘을 증가시켜야 늘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3. 생분해성 필름에 대한 유해성분 용출시험에서 중금속 들이 검출되지 않았고, 국내 친환경 인증 기준이 정하는 생분해성 수지의 함량기준에 충족하였다. 4. 작물을 이용한 토양 분해력 시험에서도 3 개월 이후에 서 대부분 분해됨을 보여 일반 농업 현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라, 이선자. 2000. 가교결합 감자 전분을 함유한 분해성 polyethylene 필름의 기계적 성질 및 분해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2(6) : 1298-1305.
  2. 김미라. 2004. Poly(3-Hydroxybutylic acid)와 chitosan 블렌드필름의 기체투과도, 유지투과도 및 생분해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7) : 1224-1229.
  3. 김재현, 박태현, 신동명, 이성호, 한귀영. 1994. 전분이 함유된 폴리에틸렌 필름의 곰팡이에 의한 생분해 특성. 한국생물공학회지 9(4) : 412-417.
  4. 서석훈, 정세환, 김성철, 김봉식, 신용섭, 이태진, 장상희, 신부영. 2003. 전분/펙틴 블렌드 필름의 기계적 물성 및 산소투과도 연구. 한국공업화학회지 14(8) : 1098-1103.
  5. 이준설, 정광호, 김학신, 김정주, 송연상, 방진기. 2009. 생분해성 멀칭필름을 이용한 고구마 재배. 한작지. 54(2):135-142.
  6. 임종환, 김지혜. 2004. 해조분말을 이용한 생분해성 필름의 제조. 한국식품과학회지 36(1) : 69-74.
  7. 한국환경공단. 2010. 영농폐기물 수거처리 현황.
  8. Doane, W. M. 1992. USDA research on starch-based biodegradable plstics. Srarch. 44 : 292-295.
  9. Hwang, H, J., J. W. Suh, I. J. Ha, and Y. W. Ryu. 1996. Effects of planting time and mulching material on growth and seed yield for seed production culture in onion. RDA. J. Agri. Sci. 38(1) : 640-647.
  10. Kim, H. K., and B. H. Hong. 1996.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ain yield of sesame. Korean J. Crop Sci. 31(3) : 260-269.
  11. Tuil, R. V., F. Paul, M Lawther, C. J. Weber. 2000. Prperties of biobased packaging materials. 13-44.

Cited by

  1. Studies on the Bio-degrad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Mulching Films Containing Rice By-products Applied to Upland Crops vol.57, pp.2, 2012, https://doi.org/10.7740/kjcs.2012.57.2.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