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메가프로젝트 기획/계획단계 VE적용을 위한 준비단계 수행방안

Development of Pre-workshop Phase for the VE application at the Early Planning Stage of the Mega Project

  • 하승룡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
  • 현창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손명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김윤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투고 : 2010.12.02
  • 심사 : 2011.04.01
  • 발행 : 2011.07.31

초록

최근 국내에서는 쇠퇴도시 재개발, 도시의 균형발전, 도시 이미지 창출을 목적으로 메가프로젝트 규모의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메가프로젝트 사업은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로 추진되는 특성으로, 참여주체간의 복잡한 이해관계와 갈등, 부적절한 시설규모 계획을 통한 사업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초기단계에서 비용절감 및 성능향상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설의 규모적 특성을 기능중심적 사고를 통해 지원할 수 있는 VE 적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사업초기단계에 대한 가용정보의 부족, 기존 방법론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사업초기단계에서의 VE적용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초기단계 메가프로젝트의 문제점과 VE적용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VE준비단계에서의 VE팀 구성, Quality Model, 성능지표, Space Model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메가프로젝트의 기획/계획단계에서 VE 수행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Korea, many mixed-used development projects(MXD) in mega project size are currently active. As these mega projects require long-term construction and execution and involve by different subjects in different fields, their completion breeds various problems, such as conflicts among project participants due to their complicated interest relationships and inaccuracy in predicting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projects due to inappropriate facility capacity planning.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essential to apply value engineering (VE) at the planning phase of the project, which can result in the best possible cost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project performance. However, not many projects are actually implementing VE because of the lack of available information, as well as the limitations due to uncertainty in the early period of project execu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VE Team Building, Quality Model Performance Indexes, Space Model so as to resolve common mega project problems and overcome VE application limitations at planning st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hat the data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apply VE at the planning phase of the large complex projec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학도 (2007). "우리나라 복합개발사업 발전방향에 관하여", 한국감정평가협회지, pp.40-49
  2. 서울시립대학교 (2008). 메가프로젝트 건설관리 시스템 개발 2차년도 연구결과보고서, 도시재생사업단, p.241, pp.399-416
  3. 심교언, 서준원, 이상경 (2008)." 복합개발사업 공모의 공모 특성 및 당선작 특성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1권, 제2호, pp.51-76
  4. 양진국 (2006). QFD와 ASIT를 활용한 건설공사 설계VE 대상 선정 방법 개발,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35
  5. 양진국 (2006). QFD와 ASIT를 활용한 건설공사 설계VE 대상 선정 방법 개발,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35
  6. 엄익준, 현창택, 인치성 (2007). VE전문가 양성과정 CVS자격취득 필수과정 Module I, 한국건설 VE연구원, p.9
  7. 이정복 (2006) "주거환경정비사업에서의 건설사업관리 적용방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7권 제2호, p.93
  8. 전수현, 민규식 (2007)." 공공-민간합동형 PF사업 활성화에 대한 고찰-도시개발사업 중심상업용지 복합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주거환경, 제5권, 제1호, pp.16-31
  9. 한희수, 김영하 (2009)." 입지별 복합용도개발에 따른 용도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제7호, pp. 211-218
  10. Dell'Isola, A. J. (1997). Value Engineering: Practical Applications for Design, Construction, Maintenance & Operations, R.S. Means Company, pp.5-14
  11.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7). Value Engineering, p.1

피인용 문헌

  1. Multi-dimensional Quality Model for Value Engineering in Planning Phase of Public Construction Program vol.14, pp.6,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6.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