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ed Factors with the Depression in the Rural People

일부 농촌주민의 우울증 관련요인

  • Hwang, Hye-Je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Lee, Moo-Si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Hong, Jee-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황혜정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홍지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11.03.15
  • Accepted : 2011.03.28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related to the factors among the rural people. The questionnaire survey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y Studies-Depression Scale(CES-D) was conducted in the rural people. The subjects were 226 individuals, living in the rural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15.0% in all and 18.3% in the elderly. The prevalence rate was higher in non educational, widowhood, higher income group. The prevalence rate was lower in the group of having good health status, having no chronic disease, low stress level.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depression were stress level whereas there was no relation with other factor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risk factors of depress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comprehensive mental health programs for the people living in the rural area.

이 연구의 목적은 2005년 우리나라 1개광역도 1개 군지역 2개면 5개리에 거주하는 주민에서의 우울증 요병율과 우울증 관련요인을 분석코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15.0%가 우울증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우울증 유병율이 19.3%로 남자의 우울증 유병율 8.4%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변수분석 결과 우울증과 관련이 있는 변수로는 일상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 수준으로 즉,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에 비하여 보통인 사람이 0.11배 적게 받는 사람이 0.10배 유의하게 낮게 우울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또한 65세이상 노인에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실시결과, 직업이 농업인 경우에 비하여 무직이거나 기타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 우울증 발생이 9.58배 높았다. 또한 스트레스 정도에서는 스트레스를 일상생활 중 많이 느끼는 노인에 비하여 보통이나 적게 느끼는 경우 각각 0.05배, 0.11배 낮은 우울발생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1).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