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귀비탕(歸脾湯)이 인체피부 섬유아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wibi-tang on Dermal Fibroblast

  • 제윤모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교실) ;
  • 유정은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교실) ;
  • 최경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교실) ;
  • 임현정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교실) ;
  • 유동열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교실)
  • Je, Yun-Mo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Yoo, Jeong-Eun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Choi, Kyung-Hee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im, Hyun-Jung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Yoo, Dong-Youl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투고 : 2011.10.28
  • 심사 : 2011.11.07
  • 발행 : 2011.11.25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Kwibi-tang extract(KB) on dermal fibroblast. Method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KB on dermal fibroblast, we used human dermal fibroblast(F6) and UVB light(30 $mJ/cm^2$) was used to damage to dermal fibroblast. we measured the nitrite production, LDH release in UVB-irradiated dermal fibroblast to elucidate the action-mechanism of KB. Also, we evaluated cell proliferation of dermal fibroblast and the amount of increased PICP, TIMP-1 in dermal fibroblast. Results: 1. KB decreased the cell proliferation of F6 dermal fibroblast in concentration of 50 ${\mu}g/ml$. 2. KB decreased the synthesis of PICP in concentration of 50 ${\mu}g/ml$. 3. KB decreased the synthesis of TIMP-1 in concentration of 50 ${\mu}g/ml$. 4. KB have no effect on the damage in UVB-irradiated F6 dermal fibroblast.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we concluded KB decreases the cell proliferation and collagen synthesis in dermal fibroblast. So we suggest that KB has the anti-hyperplasy of dermal fibroblast.

키워드

참고문헌

  1. 신승준. 켈로이드 및 비후성 반흔의 소인에 관한 임상적 고찰.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2007.
  2. 이원재 등. 켈로이드 및 비후성 반흔 환자를 대상으로 한 트라닐라스트의 안전성과 유효성. 대한성형외과학회지. 2002;29:162-168.
  3. Al-Attar A et al. Keloid Pathogenesis and Treatment. Plast Reconstr Surg. 2006;117:286-300. https://doi.org/10.1097/01.prs.0000195073.73580.46
  4. Shaffer JJ, Taylor SC, Cook-Bolden F. Keloidal scars : A review with a critical look at therapeutic options. J Am Acad Dermatol. 2002;46:63-79. https://doi.org/10.1067/mjd.2002.120788
  5. 許浚. 東醫寶鑑. 서울:대성출판사. 2000 :56.
  6. 韓醫科大學 方劑學敎授 共編著. 方劑 學 改正增補版. 서울:永林社. 2003:290-2.
  7. 전희준 등. 귀비탕(歸脾湯)이 Glutamate에 의한 성상 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7;25(2):184-193.
  8. 임재환 등. 歸脾湯과 歸脾湯加味方의 항산화 효과 및 6-Hydroxydopamine에 대한 PC12 세포 보호효과 비교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1) :1-19.
  9. 박선동, 박현준, 주왕석. 歸脾湯 및 그 構成藥物群이 抗酸化效果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1;16(1):11-27.
  10. 김성호 등. 생쥐에서 귀비탕 및 구성 단미의 방사선 방호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9;28(3):698-704.
  11. 박인기, 김경준. 歸脾湯 및 歸脾湯加味方의 止血效果에 관한 實驗的 硏究.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3;16(1) :63-76.
  12. 박재우 등. 歸脾湯의 抗疲勞效能에 關한 硏究. 대한한방성인병학회지. 2000; 6(1):162-173.
  13. 최보인. 갱년기질환에 활용되고 있는 가미귀비탕의 항stress효과에 관한 실 험적 연구. 대전대학교대학원. 2000.
  14. 김선영 등. 한방미용제제(자음미단)의 Hairless Mouse Model에서의 피부광노화 억제 및 섬유아세포의 UVB손상 저해효과. 2002;23(3):43-53.
  15. Kischer CW, Hendrix MJ. Fibronectin (FN) in hypertrophic scars and keloids. Cell Tissue Res. 1983;231(1) :29-37.
  16. 박진미. 피부미용 및 성형에서의 침구법 연구 - 오행침법시스템 중 수침시스템의 임상적용과 효과.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7;7(1):107-115.
  17. 嚴用和. 嚴氏濟生方. 北京:人民衛生 出版社. 1980:117.
  18. 王子接. 絳雪園古方選註(文淵閣本) 卷7. 서울:여강출판사. 1986:9-10.
  19. 배병석. 기초한의학. 서울:성보사. 2005 :307-14.
  20. Perlish JS, Lemlich G, Fleischmajer R. Identification of collagen fibrils in scleroderma skin. J Invest Dermatol. 1988;90(1):48-54. https://doi.org/10.1111/1523-1747.ep12462561
  21. El-Domyati M et al. Intrinsic aging vs. photoaging: a comparative histo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of skin. Exp Dermatol. 2002;11(5):398-405. https://doi.org/10.1034/j.1600-0625.2002.110502.x
  22. Giacomoni PU, Rein G. Factors of skin ageing share common mechanisms. Biogerontology. 2001:2(4):219-229. https://doi.org/10.1023/A:1013222629919
  23. Wlaschek M et al.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2001;63(1-3):41-51. https://doi.org/10.1016/S1011-1344(01)00201-9
  24. 임현정, 유동열. 단치소요산(丹梔逍遙散)이 자외선을 조사한 피부진피세포의 활성 및 유전자발현에 미치는 영향. 2011;24(2):13-32.
  25. 서기석 등. Asiaticoside의 입술 주름개선 효과. 고신대학교의과대학학술지. 2007;22(1):220-231.
  26. 김지은. 인체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열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type Ⅰprocollagen, MMP-1과 TIMP-1 발현에 대한 녹차추출물(epigallocatechin-3-gallate)의 효과.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4.
  27. 지병철, 문신용. Nitric Oxide가 인간 황체화 과립막세포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부회지. 2002;45(5):766-773.
  28. Carla Biondi et al. Interactions between the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2 biosynthetic pathways in human amnion-like WISH cells. Journal of Reproductive Immunology. 2003;60(1) :35-52. https://doi.org/10.1016/S0165-0378(03)00080-9
  29. 신형직.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혈청 nitrite 농도와 임상적, 생화학적 상태 와의 관련성. 한림대학교대학원.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