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eliminary Study into the Infant Observation Scal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care Centers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관찰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Received : 2011.06.30
  • Accepted : 2011.09.22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infant observation scal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care centers. The study was carried out using the final draft of the Infant Observation Scale for 1 year old infants. The scale consists of 42 items in 6 areas. Whereas the final draft of the Infant Observation Scale for 2 year old infants consists of 52 items in 6 areas. The subjects of this observation scale were 120 infants from the city of Busan. The results of the Infant Observation Scale for the 1 year old infant analysis for the purpose of test adequacy indecates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is from .88 to .97. The results of the Infant Observation Scale for 2 year old infant analysis for test adequacy shows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is from .76 to .97.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5).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 관찰 척도. 교육부.
  2. 김경미(2009). 만 2세 미만 영아보육에서의 표준보육 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명희(2010). 영아 보육을 위한 표준보육과정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옥진(2010). 보육시설 특성에 따른 영아표준보육과정 인지 및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혜석(2002). 영아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박소영(2009). 표준보육과정에 따른 어린이집 수준 만2세 영아보육과정의 편성 현황.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박지영(2009). 가정보육시설 영아보육을 위한 표준보육과정 적용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박혜원․김말경․김태경․류기자․민선영․박초아․ 원영미․최지현(2008). 표준보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경기: 양서원.
  9. 보건복지가족통계연보(2009). 보육시설 및 보육아동수. 보건복지가족부.
  10. 성은모(2001). 부모의 영아보육시설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손원경(2004). 3․4세용 유아발달검사 개발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신배식(2002). 영아보육의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윤치연․이근매․조영미(2005). 영아 발달검사 표준화 예비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4(2), 237- 250.
  14. 여성가족부(2005a). 영유아보육법. 여성가족부.
  15. 여성가족부(2005b). 표준보육과정 연구. 여성가족부.
  16. 여성가족부(2007b).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 여성가족부.
  17. 이영자․이종숙․신은수․곽향림․이정욱(2001). 교사용 1, 2세 영아발달 평가도구. 서울: 다음세대.
  18. 이은해(1995). 아동발달의 평가와 측정. 서울: 교문사.
  19. 이종숙․신은수․박은혜․김영태․곽영숙․유영의․ 최일선․유흥옥․고혜란(2008). 영유아의 언어인지 사회․정서 발달 평가 도구. 교육과학기술부.
  20. 이학식․임지훈(2005). SPSS 12.0 매뉴얼. 경기: 법문사.
  21. 이한은(2008).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행정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함현(2009). 표준보육과정에 관한 보육교사의 이해와 실행 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홍인혜(2006). 영․유아보육 및 유아교육 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황해익(2010). 아동연구방법. 정민사.
  25. Kelly (1939). Selection of upper and lower groups for validation of test item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0, 17-24. https://doi.org/10.1037/h0057123
  26. Salvia, J., & Ysseldyke, J. E. (1998). Assessment (5th ed.). MA:Houghton Mifflin.

Cited by

  1. A Review of Published Instruments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38, pp.3, 2017, https://doi.org/10.5723/kjcs.2017.38.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