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and Developmental Trends in Early Childhood

유아의 정보화 능력에 따른 유아발달 경향 탐색

  • Jo, Jun-Oh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wang, Hae-Ik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6.30
  • Accepted : 2011.09.22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literacy of preschoolers and their developmental tren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2 preschoolers. After taking tests in information literac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gaps among the preschoolers in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lative levels of their information literacy. When a post-hoc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tergroup differences in detai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preschoolers with excellent information literacy and those with intermediate-or poor information literacy, and between the preschoolers with intermediate information literacy and those with poor information literacy. Second, th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level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impact these differences made to their body, cognition, language, sociability and emotions which comprise the five subfactors of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nventory were checked after the mutual influence of the five subfactors was controlled. As a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apparent in all the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ccording to relative levels of information literacy. The preschoolers who had a better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level of development in every subfactor.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2000). 컴퓨터 연관 활동이 유아의 문해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신영(2003). 유아 정보화 역기능 극복방안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논총, 11, 57-78.
  3. 강신영.조준오(2007). 유아에게 나타난 컴퓨터 활용의 역기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논총, 16(1), 43-61.
  4. 강신영.황해익(2005).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컴퓨터 교육 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매체제작을 위한 활용능력 계발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5(6), 87-110.
  5. 강인숙(2001). 유아 수학교육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컴퓨터 활동이 유아의 수학성취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고은애.정정희(2005). 컴퓨터를 활용한 그림동화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4), 189-207.
  7. 곽은순(2009). 유치원 교육과정에 있어 컴퓨터의 통합실태탐색 : 질적 접근, 14(2), 383-407.
  8.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II) -건강생활.사회생활-.
  9. 교육인적자원부(2000). 초중등 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해설서. 교육부.
  10. 권대훈(2006).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1. 김경철(2002). 유아와 컴퓨터. 서울: 교육과학사.
  12. 김경철.박혜영(2006). 컴퓨터를 통한 협동 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6(1), 1-17.
  13. 김경희.강문희(2004). 유아의 신체상(身體像) 컴퓨터 활동 프로그램이 신체 자아개념과 자아상(自我像)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36(3), 217-235.
  14. 김나림(2005). 유아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과정의 적용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5(4), 153-172.
  15. 김민정(2009). 유아를 위한 컴퓨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315-336.
  16. 김병진.김훈기.김항곤.김진욱.소재진(1999). 생활과 직업윤리. 서울: 법문사.
  17. 김선영(1993). 유치원 아동의 수학개념 교수학습에 있어서 입체 조작교구와 컴퓨터 화면상의 영상조작교구와의 상대적 효과. 한국교육학회 창립40주년 기념학술대회 제 6분과 유아교육연구회 개인논문발표.
  18. 김선영(2001). 유아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사들의 컴퓨터 활동 및 인터넷 정보활동에 관한 조사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김옥민(2001). 컴퓨터 동화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사고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김종관(2003). 웹 환경에서 정보화의 역기능 해소를 위한 연구-통신윤리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김종연(2002). 유아교육기관 인터넷 활용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안.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2. 김현.김만.차현화.홍혜경(2006). 인터넷동화 활동과 그림동화 활동이 유아의 언어이해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251-268.
  23. 도규철(2002). 협력적 컴퓨터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과 사회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문정주(2003). CD-ROM타이틀과 구체적 조작물을 이용한 활동이 유아의 기초적 수학개념 발달 및 수학 접근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박경숙(2004). 컴퓨터 교육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4(1), 223-236.
  26. 박진희(2001). 컴퓨터와 구체적 조작물에 의한 수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박현주(2001). 종이책, 전자책 경험과 활용시간 제한이 유아의 확산적 사고 및 읽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박혜경(2001). 구성주의적 유아컴퓨터활동이 개념이해도와 자기 조절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8(6), 19-40.
  29. 박희숙(2001). 컴퓨터 영역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양승희(1997). 컴퓨터를 활용한 문해 활동 제시가 유아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양연임.김영실(2000). 유아의 문식성과 컴퓨터로 쓰기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22(2), 301-313.
  32. 원혜민.이경미(2011).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한 유아 대상의 체감형 게임 설계 : 신체놀이 활동 중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3), 116-127.
  33. 유구종(2007). 유아컴퓨터 교육과 ICT. 서울: 창지사.
  34. 유구종.정상녀.김영옥(2007). 유아용 컴퓨터 활용능력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09-234.
  35. 유구종.조윤영(2004). 컴퓨터를 활용한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9(1), 273-290.
  36. 유양근(2000). 정보사회와 정보이용. 경기도: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37. 윤경선.임영숙.정상녀(2004). 수학 관련 CD-Rom Title을 활용한 통합 교육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능력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3, 109-124.
  38. 이경민(2002). 유아의 지능, 감성지능, 창의성의 관계 및 관련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9. 이성희(1991). 컴퓨터 영역의 운영과 유아의 사회적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이숙희(2007). 컴퓨터 게임 중독 수준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판단 및 유아발달수준의 차이. 한국아동교육학회. 16(4), 33-44.
  41. 이연주(2006). 컴퓨터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유아컴퓨터교육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이은미(2002). 유아 교육기관의 지역 및 설립유형별에 따른 컴퓨터 교육환경 분석. 진주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이충호.김준규.강신영.양의식(2008). 유아컴퓨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문사.
  44. 임정훈.한기순.이지연(2008). 교육심리학. 서울: 양서원.
  45. 장효승(2003). 멀티미디어를 주제로 한 유아연구의 동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정아란.엄기영(2006). 유아의 컴퓨터게임 과몰입 예방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한국보육학회, 6(2), 211-237.
  47. 조아영.유경숙(2006). 컴퓨터 연관활동이 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연구, 16(1),129-142.
  48. 조준오.강신영(2008). 유아 인터넷 및 온라인 게임 사용 실태조사. 유아교육논총, 17(1), 25-42.
  49. 조준오.황해익(2009). 유아 정보통신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아동학회지, 30(3), 161-175.
  50. 최미희(2004). 컴퓨터 활용수업과 구체물 활용수업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연구, 13(1), 265-282.
  51. 한국인터넷진흥원(2009). 2008년 상반기 정보화실태 조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52. 홍혜경(2008). 유아컴퓨터교육. 서울: 학지사.
  53. 홍혜경.정용은(2005). 유아의 정보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5(1), 47-64.
  54. 황해익.강민정.강신영.조준오(2010). 유아교육과 멀티미디어. 서울: 양서원.
  55. ACRL(Association of College & Research Libraries). (1998) A progress report on information literacy : An update on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 (final report). Retrieved August, 10, 2006, from http://www.ala.org/ala/acrl/acrlpubs/whitepapers /progressreport.htm.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재인용).
  56. Alliance for Childhood. (2001). Fool's gold : A critical look at computer and childhood.
  57. Barnes, B. J., & Hill, S. (1983). Should young children work with microcomputer : Logo before lego. The Computing Teacher , 11-14.
  58. Borgh, K., & Dickson, W. P. (1986). Two preschoolers sharing one microcomputer : Creating prosocial behavior with hardware and software. In P. E. Campbell & G. G. Fein (Eds.), Young children and microcomputers (pp. 37-44). Reston, VA : Reston Publishig.
  59. Boyd, R., Welge, P., Dexton, D., & Miller, J. (1989). Current validity of Ballelle Bevelopmental Inventory : Relationship with the Bayley Scales in young children with knoen or suspected disabilities. Journal of Early Invenrion, 13(1), 14-23. https://doi.org/10.1177/105381518901300103
  60. Clements, D. H., & Gullo, D. F. (1984) Effects of computer programming on young children's cogni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1051-1058. https://doi.org/10.1037/0022-0663.76.6.1051
  61. Clements, D. H. (1987) Effects of Logo and CAI environments of cognition and creativity, Journal of Educatinal Psychology, 78(4), 311-456.
  62. Clements, D. H., Nastasi, B. K., & Swaminathan, S. (1993). Young children and computer : Crossroads and directions from rerearchs. Young Children, 48(2), 56-64.
  63. Davidson, J. I. (1989). Children and computers together in the early children classroom. Albany, New York : Delmar Publishers Inc.
  64. Elkind, D. (1987). Miseducation : Preschools of risk. New York : Knopf.
  65. Fletcher-Flinn, C. M., & Suddendorf, T. (1996). Computer Attitudes, Gender and Exploritory
  66. Hyson, M., & Morris, S. (1985). Computers? I Love them!; Young children's concepts and attitudes about comput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23, 17-29.
  67. Johnson, J. E. (1985).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interested in microcomputers. Journal of Educational Rerearch, 78, 299-305.
  68. Kaden, M. (1990). Issues on computer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69. Papert, S. (1980). Mindstorms :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NY : Basic Book.
  70. Parker, S. J., & Zuckerman, B. S. (1990). Therapeutic aspects of the assessment process. In S. J. Meisels & P. Shonkoff (Eds.),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pp. 350-369). Cambridge, England :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Riding & Powell. (1987). The effects on reasoning, reading and number performance of computer presented critical thinking activities in fiveyear- old children. Educational Psychology, 7, 55-65. https://doi.org/10.1080/014434187007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