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valuation Scale for Early Years Children's English Textbooks

유아영어교재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최혜정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 현은자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1.04.30
  • Accepted : 2011.07.28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ppropriate scale for evaluating early years children's English textbooks and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e scale thus developed. The scale was administered to 563 Korean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of the 24 item scale demonstrated Cronbach' ${\alpha}$ = .94 for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tal items. Confimatory Factor Analysis (CFA) supported a four-factor structure. Cross-Validation for the retest accepted the four-factors. Those four factors were as follows; Contents & Organization as factor 1, Illustrations & Designs as factor 2, Materials & Topics, as factor 3 and Objectives as factor 4. The author suggests that these afore mentioned factors will prove to be most useful for evaluating the children's English textbooks which are apparently published in an often quite indiscriminant manner.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자.최지영(2010). 현직교사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유아교사 양성대 학의 유아영어 교과목 개설 실태. 어린이미디어연구, 9(1), 309-332.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외국어과 교육과정II,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8-160호[별책 14].
  3. 교육부(1998). 초등학교 1종 도서 편찬 지침. 서울: 교육부.
  4. 교육인적자원부(2008). 제 7차 유치원교육과정 해설집. 서울: 교육과학부.
  5. 권오량(2007). 초등영어교육 10년의 평가분석을 통한 초․중등 영어교육활성화 방안. 교육평론. 서울: 주간교육신문사.
  6. 기경화.안선희.이순응(2008). 유아 영어교사의 자질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인식. 한국생활과학회지, 17(6), 1125-1133.
  7. 김경철.홍정선(2002).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어린이미디어연구, 1(12), 35-31.
  8. 김순환(2008). 유치원에서의 영어교육현황과 담당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327-355.
  9. 김원표(2007).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델분석. 서울: 사회와 통계.
  10. 김정렬(2006). 초등영어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한국문화사.
  11. 김주환.김민규.홍세희(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2. 김천홍(2006). 초등 1.2학년으로 영어교육 확대 연구학교 50여 곳 2년간 시범 운영. 교육마당1, 24, 46-49.
  13. 김혜련(1998). 초등영어교재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 조사. Foreign Language Education, 4(1), 5-21.
  14. 김혜정(2002). 조기영어교사 연수 프로그램 실태연구. English Linguistic Science, 8, 167-200.
  15. 마송희(2003). 유아의 영어교육경험, 상위언어능력, 모국어 및 영어 어휘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 연구, 8(3), 253-272.
  16. 마송희(2007). 유아영어교육 연구동향. 열린유아교육 연구, 12(5), 185-208.
  17. 마송희(2008). 유아교육기관 영어교육의 타당성과 바람직한 실천 방안.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221-245.
  18.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9. 민현정․함정현(2009). 영어동화를 활용하여 다중지능과 창의성 영역을 기초로 한 유아영어교육 활동이 유아의 언어기능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9(1), 25-47.
  20. 박경자.장복명(2002). 영어교재론. 서울: 박영사.
  21. 박약우.이효웅.나기연.최연희.김성식.유경환.문승상(1997). 초등 영어 교재 분석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3(2), 79-118.
  22. 박약우.고경석.이재희.김혜련.박기화.박선호.최희경.부경순.심창용(2009). 초등 영어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23. 박영예(2002). 제 7차 교육과정의 초등영어 3, 4학년 교재 분석. 초등영어교육, 8(1), 139-166.
  24. 박유진.정동빈(2010). 도식구성도(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한 영어 동화 읽기 지도가 유아의 영어 학습 흥미도와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61(4), 89-131.
  25. 박화윤.안라리.하양승(1997). 유치원 영어교육의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7(2), 183-206.
  26. 배두본(2008). 영어교재론 개관. 서울: 한국문화사.
  27. 서현아.윤정진.차미영.김정주(2009).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갈등.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4), 523-553.
  28. 송승민(2005). EFL환경과 ESL환경에서 영어조기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유형 분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387-412.
  29. 신순희.황혜정(2005). 유아교육학과: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의 유아영어지도에 대한 관심 및 실태 조사연구. 시민인문학(구, 경기인문논총), 13, 251-272.
  30. 양옥승.김진영.김현희.김영실(2001). 한국 사립유치원 영어교육의 실태. 아동학회지, 22(4), 299-313.
  31. 여성가족부(2007). 표준보육과정해설집. 서울: 여성가족부.
  32. 오은순(2004). 손유희를 이용한 영어교수법이 유아의 영어단어 재생에 미치는 효과. 영어어문교육, 10 (2), 89-111.
  33. 우남희.서아람(2010). 그림책과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 방법의 비교 분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2), 23-47.
  34. 유구종.김민경.김동수(2009). 유아 대상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및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23-444.
  35. 이경희.전예자(1997). 가정과 유치원에서의 유아 영어교육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3, 203-230.
  36. 이기숙.장영희.정미라.홍용희(2002). 유치원에서의 특별활동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아동학회지, 23(4), 137-152.
  37. 이대균.백경순.정명자(2006). 유아영어교육의 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0(2), 95-120.
  38. 이명조(1995). 유치원에서의 영어 조기 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 107-126.
  39. 이명조(2005). 조기영어교육 효율성에 대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3), 107-127.
  40. 이명조.정선화.이정화(2003). 한국 유아의 조기교육. 아산재단연구보고서87. 서울: 집문당.
  41. 이병민(2002). 우리나라에서 조기영어교육이 갖는 효과와 의미. 한국외국어교육학회지, 5, 13-37.
  42. 이성희(2001). 영어교재평가 모형. Foreign Language Education, 8(1), 195-221.
  43. 이수경(2006). 유치원 영어교재에 관한 분석 및 교사의 인식:광주광역시 시내 및 외곽 중심으로. 한국 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이순묵(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45. 이순형.최나야.채진영.한신애.조유수.김민경.김지원.이정민(2010). 유아 이중언어 통합 교육 프로그램. 서울: 학지사.
  46. 이영환.한영숙.정남숙(2001). 유아교육기관의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 연구. 한국영유학보육학, 25, 21-56.
  47. 이윤숙(2003). 유아 영어 교육에 관한 제언. 현대영어교육, 4(2), 105-147.
  48. 임원경(2009). 유아 방문 학습기관의 영어교재 비교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임윤수(2010). 유아영어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장영준.최지영.김명숙(2008). 유아 영어교육의 실태와 실천적 방안.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29.
  51. 전홍주(2009).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서 본 유아 영어교육의 방향. 유아교육연구, 29(3), 191-213.
  52. 정동빈(1999). 조기영어교육론. 서울: 한국문화사.
  53. 좌승화.천희영.서현아.최미현(2003). 유아영어교육의 지도방법과 교재에 관한 국내 연구의 경향 및 내용 분석. 유아교육논총, 12, 17-35.
  54. 최 경(2009).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8(2), 221-240.
  55. 최지영(2009). 유아영어교육. 서울: 동문사.
  56. 최혜정.조성자(2007). 유아영어교사의 자질과 양성 교과목에 관한 실태조사. 아동학회지, 28(6), 17-37.
  57. 탁진국(2007).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5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0). http//www.kice.re.kr/교과서 검정.
  59. Ali, M. A. (2008). A Evaluation of the Sixth Grade English Language Textbook for Saudi Boys' Schools. King Saudi University Master's thesis.
  60. Allwright, R. L. (1981). What do we want teaching materials for? ELT Journal, 36(1), 5-18. https://doi.org/10.1093/elt/36.1.5
  61. Allwright, R. L. (1984).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in classroom language learning. Applied Linguistics, 5, 156-171. https://doi.org/10.1093/applin/5.2.156
  62. Ansary, H., & Babaii, E. (2002).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EFL/ESL textbook:a step towards systematic textbook evaluation. The Internet TESL Journal, VIII(2).
  63. Bartel, K. J. (1974). Selecting the foreign language textbook. Modern Language Journal, 58(7), 326-328. https://doi.org/10.1111/j.1540-4781.1974.tb05119.x
  64. Brewster, J., & Ellis, G. (2002). The Primary English Teacher's guide. London:Penguin.
  65. Bruder, M. N. (1978). Evaluation of Foreign Textbooks: A Simplified Procedure. In Madson and Bowen (Eds.), Adaptation in Language Teaching. Rowley:Newbury House Published, Inc.
  66. Chomsky, N. (1972). Language and mind. New York: Harcourt Brace & Jovanovich.
  67. Cunningsworth, A. (1995). Choosing your coursebook. London:Macmillan.
  68. Ellis, R. (1985). Understan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69. Ellis, R. (1990). Instructe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earning in the classroom. Cambridge. MA: Basil Blackwell.
  70. Epstein, R., & Ormiston, M. (2007). Tools and Tips for Using ELT Materials:A Guide for Teachers. Michigan:University of Michigan Press.
  71. Fullan, M. (1991).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NY:Teachers College Press.
  72. Gardner, D., & Miller, L. (1999). Establishing Selfaccess: from theory to Practi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Genesee, F. (2001). Bilingual acquisition. http//www.earlychildhood.com/Article.
  74. Harmer, J. (1983). The practice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London:Longman.
  75. Hemsley, M. (1997). The evaluation of teachers' guides design and application. ELT Journal, 3(1), 72-83.
  76. Hong, X. I. (2004). Investigating criteria for assessing ESL textbooks. University of Alberta. Doctorial dissertation.
  77. Hutchinson, T., & Water, A. (1987).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A learning centred approach.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
  78. Hutchinson, T., & Torres, E. (1994). The textbook as agent of change. ELT Journal, 48(4), 315-328. https://doi.org/10.1093/elt/48.4.315
  79. Kirkgoz, Y. (2009). Evaluation the English textbook for young learners of English at Turkish primary education.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 79-83. https://doi.org/10.1016/j.sbspro.2009.01.016
  80. Kitao, K. (1997). Selecting and Developing Teaching Learning Materials. The Internet TESL Journal, IV(4). Retrieved September 5, 2009, from http://iteslj.org/Articles/Kitao-Materials.html.
  81. Krashen, S. D. (1981).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Oxford:Pergamon Press.
  82. Lazar, G. (1993).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A Guide for Teachers and Trainer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3. Lenneberg, E. H. (1967). Biological foundations of language. New York:Wiley and sons.
  84. Levis, J. M. (1999). Intonation in theory and practice, revisited. TESOL Quarterly, 33(1), 37-63. https://doi.org/10.2307/3588190
  85. Long, M. H. (1990). Maturation constraints on language development. Studies in Second Acquisition, 12, 251-285. https://doi.org/10.1017/S0272263100009165
  86. Noar, S. M. (2003). The Rol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cale Develop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0(4), 622-647.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1004_8
  87. Patsy M. L., & Nina S. (1999). How Languages are Learned.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88. Paul, D. (2003). Teaching English to children in Asia. Hong Kong:Longman Asia ELT.
  89. Rivers, W. M. (1981). Teaching Foreign Language Skills (2nd). Chicago: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0. Santrock, J. W. (2006). 아동발달심리학[Child Development]( 곽금주.정윤경.김민화.박성혜.송현주 역). 서울: 박학사(원전 1998년 출판).
  91. Sheldon, L. E. (1988). Evaluating ELT textbook and materials. ELT Journal, 42(4), 237-246. https://doi.org/10.1093/elt/42.4.237
  92. Skierso, A. (1991). Textbook selection and evaluation. In M. Celce-Murcia (Ed.),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Boston:Heinle & Heinle.
  93. Stevick, E. W. (1972). Evaluating and Adapting Language materials. In Allen and Campbell (Eds.),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Magraw-Hill Inc.
  94. Tomlinson, B. (2003). Developing materials for language teaching. London. UK:Continuum.
  95. Wang, W. P. (2007). Taiwanese textbooks for young learners of English:A Criterion-referenced analysis. Journal of Maori and Pacific Development, 8, 36-60.
  96. Widdowson, H. (1998). Skills, abilities and contexts of realities. Annu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18, 323-333. https://doi.org/10.1017/S0267190500003615
  97. Williams, D. (1983). Developing criteria for textbook evaluation. ELT Journal, 37(3), 251-261. https://doi.org/10.1093/elt/37.3.251
  98. Yule, G., Mathis, T., & Hopkins, M. (1992). On reporting what was said. ELT Journal, 46(3), 245-251. https://doi.org/10.1093/elt/46.3.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