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강원 영동지역 봄철 산불대형화 영향 기상요소 분석

A Study on Meteorological Elements Effecting on Large-scale Forest Fire during Spring Time in Gangwon Young-dong Region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김지은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투고 : 2010.11.15
  • 심사 : 2010.11.19
  • 발행 : 2011.02.28

초록

봄철은 강수량이 연평균의 13% 정도로 적어 건조한 계절이며, 영동지역에 대형 산불이 많이 발생했던 해는 풍속은 강하고 공중습도가 봄철 평균보다도 낮고 강수량도 상대적으로 적어 더욱 건조했다. 대형산불이 발생했던 날은 평균풍속, 최대풍속, 최대순간풍속이 5.9 m/s, 11.3 m/s, 20.9 m/s로 산불 발생일의 평균값보다 1.8 m/s, 3.0 m/s, 6.9 m/s 크게 나타나, 산불의 대형화와 기상요소는 밀접한 관계를 나타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eteorological elements, when large forest fires were occurred, The rate of precipitation was 13% of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Especially, the stronger wind speed, lower humidity and rainfall than average annual record were the distinct feathers on the year when large forest fire occurred in east coast area in Kangwon region. The average, maximum and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was 5.9 m/s, 11.3 m/s and 20.9 m/s when large forest fires occurred. The average, maximum and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on large fire occurred were 1.8 m/s, 3.0 m/s and 6.9 m/s faster than and average wind speed when whole forest fires occur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arge forest fire occurrence had a close correlation with meteorological ele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시영 (2009) 산불과 기상,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9권 제2호, pp. 19-23.
  2. 이명보 (2006) 우리나라 산불발생 특성,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6 권 제1호, pp. 29-39.
  3. 이시영, 한상열, 원명수, 안상현, 이명보 (2004) 기상특성을 이용 한 전국 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6권 제4호, pp. 242-249.
  4. 이시영, 이해평 (2006) 한국의 산불발생 실태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20권 제2호, pp. 54-63
  5. 이시영, 이명욱, 권춘근, 이해평 (2009) 영동지역 산불조심 기간중 활엽수림에서 강우 후 임내 연료습도 변화분석, 한국방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pp. 102-102.
  6. 임주훈 (2000) 동해안 산불과 기상,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2권제2호, pp. 62-67.
  7. 이우진 (2006) 일기도와 날씨해석. (주)광교이택스, pp. 24-25.
  8. 강원지방기상청 (2004, 2005, 2006) 국지기상 집중연구 보고서 (I)(II)(I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