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독(蜂毒)이 Lipopolisaccharide로 유발된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병태(病態) Model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ee Venom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 박동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 교실) ;
  • 정승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 교실) ;
  • 정희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 교실)
  • Park, Dong-Hee (Division of Allergy, Immune & Respiratory System,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Jung, Sung-Ki (Division of Allergy, Immune & Respiratory System,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Jung, Hee-Jae (Division of Allergy, Immune & Respiratory System,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발행 : 2011.06.30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bee venom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s : In this study, LPS was administrated to Balb/c mice to induce a disease that resembles COPD. 2 hr prior to LPS administration, mice were treated with bee venom via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Total cell number and neutrophils number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were counted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also measured. For histologic analysis, periodic acid Schiff (PAS) and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s were evaluated.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s (PCNA) were also assess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 On 7 days after LPS stimulation, influx of neutrophi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ee venom group, compared with the COPD group. In addition, TNF-a and IL-6 levels decreased in bee venom group. Histological results also demonstrated the attenuation effect of bee venom on LPS-induced lung inflammation. Conclusions : These data suggest that bee venom has protective effects on LPS-induced lung inflammation. Therefore, bee venom may represent a novel therapeutic agent for lung inflammation and in particular for COPD.

키워드

참고문헌

  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편. 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1996, p. 66-75.
  2. Di Stefano A, Caramori G, Oates T, Capelli A, Lusuardi M, Gnemmi I, et al. Increased expression of nuclear factor-kappa B in bronchial biopsies from smokers and patients with COPD. Eur Respir J 2002;20:556-63. https://doi.org/10.1183/09031936.02.00272002
  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호흡기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7, p. 301-5.
  4. 김영균. 안정된 COPD에서의 약물요법. 대한의사협회지 2006;49(4):333-41.
  5. 方藥中 編. 實用中醫內科學.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6, p. 158.
  6. 권기록, 고형균, 김창환. 蜂針에 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4;11(1):159-71.
  7. 고형균, 권기록, 인창식. 蜂毒약침요법.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3, p. 1-16, 48, 78-89, 215.
  8. 김갑성. 침자 및 蜂毒요법이 Carrageenin으로 유발된 흰쥐의 슬관절 염증성 부종에 미치는 효능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95;16(1):379-402.
  9. 도원석, 장준혁, 김경호, 윤종하, 김갑성. 蜂毒요법이 흰쥐의 슬관절 염증성 부종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5;12(1):211-20.
  10. 박형규, 하지용, 안규석. 蜂毒이 흰쥐의 Adjuvant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동의병리학회지 1993;8(1):17-28.
  11. 조광호, 이재동, 박동석, 안병철. Jaw Opening Reflex 및 RT-PCR을 이용한 蜂毒의 진통효과. 대한약침학회지 2000;3(1):35-51.
  12. 정선희, 고형균, 박동석. 蜂毒약침자극이 Writhing reflex 및 척수내통증관련 신경세포에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0;3(1):101-18.
  13. 정선희, 이재동, 고형균, 안병철, 최도영, 박동석. 蜂毒약침이 척수내통증관련 신경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0;17(2):153-68.
  14. 공현숙, 고형균, 김창환. 蜂毒요법이 생쥐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95;12(1):331-9.
  15. 이홍석. 蜂毒약침자극이 Methotrexate로 유발된 생쥐의 면역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 경희한의대논문집 1998;21:347-59.
  16. 양창열, 송호섭. Bee venom의 세포자멸사를 통한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 및 LNCaP의 이종이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10;13(1):15-35.
  17. 안창범, 임춘우, 윤현민, 박수진, 최영현. 약침용 蜂毒성분 melittin의 영향에 의한 인체 폐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대한침구학회지 2003;20(5):93-106.
  18. 김윤미, 이재동, 박동석. 약침용 蜂毒성분 중 Apamin의 항암효과와 MAP-Kinase 신호전달 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1;18(4):101-15.
  19. 최정식, 박장우, 오민석. 蜂毒요법의 항염증 기전 연구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6;15(1):141-60.
  20. Puljic R, Benediktus E, Plater-Zyberk C, Baeuerle PA, Szelenyi S, Brune K, et al. Lipopolysaccharide-induced lung inflammation is inhibited by neutralization of GM-CSF. Eur J Pharmacol 2007;557(2/3):230-5.
  21. 김문호. 蜂毒요법과 봉침요법. 서울: 한국교육기획; 1992, p. 20-37, 41-2, 67-74, 104-12, 134-49, 171-6.
  22. 인창식, 고형균. 蜂毒요법에 대한 한의학 최초의 문헌기록 (마왕퇴의서의 蜂毒요법 2례). 대한침구학회지 1998;15(1):143-7.
  23. Javis D.C. Folk Medicine. New York: Fraecett Crest and Ballantine Books; 1982, p. 101.
  24. Thorbecke GJ. The affinity of reticuloendotherial system for various serum protein. Brit. J Exp, Path 1960;41(2):190.
  25. 대한약침학회. 약침요법 시술지침서. 서울: 한성인쇄; 1999, p. 187-8.
  26.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p. 165.
  27. Isselbacher KJ, Braunwald E, Wilson JD, Martin JB, Fauci AS, Kasper D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3th ed. New York: McGrawHill, Inc; 1994, p. 447-56.
  28. Jeffery PK. Structural and inflammatory changes in COPD: a comparison with asthma. Thorax. 1998;53(2):129-36. https://doi.org/10.1136/thx.53.2.129
  29. MacNee W, Rahman I. Is oxidative stress central to the pathogenesi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rends Mol Med 2001;7(2):55-62. https://doi.org/10.1016/S1471-4914(01)01912-8
  30. Churg A, Dai J, Tai H, Xie C, Wright JL. Tumor necrosis factor-alpha is central to acute cigarette smokeinduced inflammation and connective tissue breakdown.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2;166(6):849-54. https://doi.org/10.1164/rccm.200202-097OC
  31. Woolhouse IS, Bayley DL, Stokley RA. Sputum chemotactic activity in chor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ffect of alpha1-antitrypsin deficiency and the role of leukotriene B4 and interleukin 8. Thorax 2002;57(8):709-14. https://doi.org/10.1136/thorax.57.8.709
  32. 전국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동의폐계내과학. 서울: 아트동방; 1996, p. 322-45.
  33. Kennedy MJ. Inflammation and cystic fibrosis pulmonary disease. Pharmacotherapy 2001;21(5):593-603. https://doi.org/10.1592/phco.21.6.593.34546
  34. 서정철, 임강현, 김이화, 김창주, 유영민, 정주호, 등. 蜂毒약침액의 Nitric Oxide에 대한 소거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1;18(6):161-70.
  35. 서정철, 임강현, 한상원. 蜂毒약침액의 항산화효능. 대한약침학회지 2003;6(1):67-75.
  36. 송정렬, 이성노, 조현철, 김기현. 蜂藥鍼液이 NO, H2O2, IL-1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대한약침학회지 2002;5(2):52-62.
  37. 하성종, 이성노, 조현철, 김기현. 蜂藥鍼液이 PLA2, COX-2, iNOS, AA 및 PG에 미치는 影 響에 關한 硏究. 대한약침학회지 2002;5(2):40-51.
  38. 김군중, 심성용, 이성노, 김기현. 봉약침액이 RAW 264.7 세포의 iNOS, TNF-$\alpha$ 및 NF-$\kappa$Β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3;6(2):45-56.
  39. 권순정. 인체 활막세포를 대상으로 한 봉약침액 및 Melittin의 염증 조절인자 NF-$\kappa$Β(P50) 활성억제기전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4.
  40. 박혜지. 멜리틴의 IKK 및 NF-$\kappa$B 염증 신호 전달 억제 작용.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대학원; 2005.
  41. 남궁우. 류마티스-관절염과 동맥경화 치료를 위한 천연물의 Cyclooxygenase-2 과 NF-$\kappa$Β 매개에 관한 기전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42. 정혜윤, 고형균. 蜂毒 약침액이 염증 및 통증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2;19(3):41-50.
  43. 이덕재. The effects of Lonicera japonica on the murine mode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학위논문(박사). 경희대학교대학원; 2009.
  44. 윤종만, 박양춘. Elastase 매개성 폐조직 손상에 대한 宣肺定喘湯의 보호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31(1):84-101.
  45. 곡정강, 정희재, 김진주, 정승기. 連翹의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에서의 항염증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31(2):242-53.
  46. Mu-chang Sul, Hong-yeoul Kim, Young-lae Roh, Hee-jae Jung, Sung-ki Jung. Anti-inflammatory Effect of LFR on LPS-stimulated THP-1 Cells.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2):388-98.
  47. 이병삼, 김홍렬, 김진주, 정승기, 이형구, 정희재. 解熱湯이 LPS로 자극된 대식세포에 있어 염증 관련 Cytokine 발현억제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2):334-47.
  48. 곡정강, 김진주, 노영래, 이성헌, 정승연, 정희재, 정승기. 解熱湯의 抗炎症, 抗酸化, 抗老化 作用 에 대한 實驗的 硏究.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28(4):671-80.
  49. 이경희, 김홍렬, 정희재, 이형구. LPS로 유발된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에 대한 淸上補下湯의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1):12-24.
  50. 표석능, 손은화. 면역학개론. 서울: 신일북스; 2008, p. 153-5, 170.
  51. 이천주, 이수진, 박세종, 장병준, 이종화, 김길수, 이명헌, 등. 미세분진이 흰쥐의 폐포대식세포에서 TNF-$\alpha$와 IL-$1{\beta}$의 형성에 미치는 효과. Tuberc Respir Dis 2006;60(5):554-63. https://doi.org/10.4046/trd.2006.60.5.554
  52. Kishimoto T. The biology of IL-6. Blood 1989;74:1-10.
  53. 송영욱. 최근 조명된 류마티스 관절염의 병태 생리. 대한내과학회지 2009;76(1):1-6.
  54. Kurki P, Vanderlaan M, Dolbeare F. Express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cyclin during the cell cycle. Exp Cell Res 1986;166(1):209-19. https://doi.org/10.1016/0014-4827(86)90520-3
  55. Yokohori N, Aoshiba K, Nagai A. Increased Levels of Cell Death and Proliferation in Alveolar Wall Cells in Patients With Pulmonary Emphysema. Chest 2004;125(2);626-32. https://doi.org/10.1378/chest.125.2.626
  56. 고은정, 남상수, 홍무창, 신민규, 배현수. 蜂毒 추출액이 helper T cell 분화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5):134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