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ulnerability Analysis in the Nakdong River Basin for the Utilization of Flood Risk Mapping

홍수위험지도 활용을 위한 낙동강 유역에서의 홍수취약도 분석

  • Kim, Tae-Hyung (School of Archi.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n, Kun-Yeun (School of Archi.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Wan-Hee (Dam & Watershed Dept., K-water)
  • 김태형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 한건연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 조완희 (한국수자원공사 댐.유역관리처)
  • Received : 2011.08.02
  • Accepted : 2011.09.1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flood damages have been increasingly strengthened and take the form of unpredictable and unusual weather phenomena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climate anomalies. To prevent inundation damage caused by breach of hydraulic structure such as dam or levee, and trouble of drainage of inner basin, the prediction necessity of flood inundation area, flood risk analysis, and drawing flood risk maps have been on the rise, and the national flood risk maps have been produced.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which represents population living within flood-affected areas, types of economic activities, facilities affected by flood, in order to extend flood risk mapping from simple hazard concept into risk based idea. By applying it to Nakdong River basin, the flood vulnerability indices were estimated to draw flood risk maps subdivided into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establish th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d priority decision of disaster prevention project.

오늘날 홍수재해의 특성은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하여 점점 더 높은 강도를 나타내고, 예측이 불가능한 기상이변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에 따른 댐 및 제방 등의 수공구조물 붕괴, 또는 내수배제 불량 등으로 인한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침수범위의 예측 및 분석을 통한 홍수위험지도 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실제로 국가 차원의 홍수위험지도가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홍수위험지도 제작에 있어서 단순한 위험성(hazard)의 개념이 아닌 위험도(risk)개념으로의 확장을 위해 홍수에 노출된 지역의 인구수, 경제적 활동의 형태, 홍수가 발생했을 때 2차적 피해를 불러올 수 있는 설비 등을 나타내는 홍수 취약도(flood vulnerability)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고, 낙동강 유역에 적용하여 행정구역별로 세분화된 홍수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취약도 지표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된 결과는 각 지자체 및 관련부처에서 효율적인 방재대책 수립 및 치수방재사업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정량적 자료 및 중요한 가치판단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석규, 송인호, 고광용. 2007. 지형정보를 활용한 영산강 유역의 재해위험지도 작성. 한국지적정보학회지 9(2):121-131.
  2. 김정엽, 정대진, 복정수, 조효섭, 정관수. 2006. 홍수위험지표 및 위험도 작성에 관한 연구. 2006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1156-1160쪽.
  3. 김주훈, 김경탁, 연규방. 2003. GIS를 이용한 토양침식 위험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2):22-32.
  4. 박경훈. 2003. GIS 및 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유역의 토양침식위험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4):24-36.
  5. 윤하연. 1999. 인천광역시 환경지표의 개발과 적용. 인천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99-13쪽.
  6. 윤홍식, 이동하, 서용철. 2009.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4):59-73.
  7. 유환희, 김성삼, 박기연, 최우석. 2005. 지형공간정보체계에 의한 도시지역 재해위험도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 13(3):41-52.
  8. 이창희, 이석민, 여창건. 2006. 서울시 지역안 전도 평가모형 개발연구 - 홍수재해를 중심으로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9. 임광섭, 최시중, 이동률, 문장원. 2010. 홍수지표의 인과관계를 이용한 홍수위험지수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0(1B):61-70.
  10. 장옥재, 김영오. 2009. 지역회귀분석을 이용한 홍수피해위험도 산정. 한국방재학회논문집 9(4):71-80.
  11. 정일원. 2007. 혼합 상세화 기법을 적용한 국내 수자원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한건연, 김극수, 최승용, 이용신. 2007. 홍수정보지도 작성방법에 관한 연구. 2007년 한국 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1322-1326쪽.
  13.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Summary for Policymakers. A Report of the Working Group II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p.17.
  14. Kannami, Y. 2008. Establishment of contry-based flood risk index. 30th ICHARM Internationl Syposium. pp.1-6.
  15. Karmakar, A.P.S. and S.P. Simonovic. 2007a. Physical, Economical, Infrastructural and Social Flood Risk - Vulnerability Analyses in GIS, Report 57, Water Resources Research Report No. 1913-3200,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16. Karmakar, A.P.S. and S.P. Simonovic. 2007b. A Web-Based Flood Information system, Report 56, Water Resources Research Report No. 1913-3200,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17. Zhang, J., N. Okada, H. Tatano and S. Hayakawa. 2002. Risk assessment and zoning of flood damage caused by heavy rainfall in Yamaguchi Prefecture, Japan. Flood Defence 2002. pp.162-169.

Cited by

  1. Development of Strategics for Establishment of Spatial Information by Assessment of GIS-Based Flood Risk vol.23, pp.2, 2015, https://doi.org/10.12672/ksis.2015.23.2.039
  2.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 메타데이터 설계 vol.20, pp.3, 2017, https://doi.org/10.11108/kagis.2017.20.3.052
  3. 홍수피해유형별 홍수 위험 지수 적용성 분석 vol.38, pp.1, 2011, https://doi.org/10.12652/ksce.2018.38.1.0029
  4. A 3D simulation of river basin boundary based on the change of water-level using open government data in South Korea vol.26, pp.2, 2011, https://doi.org/10.1007/s41324-017-0162-y
  5. The Build and Application of a Storm and Flood Standard Data Model of a Damage Prediction Map vol.19, pp.6, 2011, https://doi.org/10.9798/kosham.2019.19.6.237
  6. Development of a Typhoon Risk Index (TRI) Based on Records of Typhoon Damage vol.19, pp.7, 2011, https://doi.org/10.9798/kosham.2019.19.7.501
  7. OpenGIS 기반 홍수범람지도 작성 자동화 툴 개발 및 제주 한천 적용 연구 vol.39, pp.6, 2011, https://doi.org/10.12652/ksce.2019.39.6.0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