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Network-Based Online GPS Baseline Processing System

네트워크 기반 온라인 GPS 기선해석 시스템 개발

  • Kim, Su-Kyung (Department of Geoinformation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
  • Bae, Tae-Suk (Department of Geoinformation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 김수경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공학과) ;
  • 배태석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1.04.27
  • Accepted : 2011.06.1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With the increased use of GPS in the field of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surveying, the request for fast and precise positional information has increased. Several countries such as USA, Canada, and Australia have already been operating Internet-based automatic GPS data analysis system using e-mail and FTP. Expanding GPS marke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utomatic GPS baseline processing system that is accessible via Internet.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s operating on the web, and it allows the users to access easi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 main processing engines are Bernese V5.0 and PAGES. They process user data with three GPS CORS(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 and then send the report to the users through e-mail. This system allows users to process high accurate GPS data easily. It is expected that this system will be used for various GPS applications such as monitoring large-scale structures and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in private sector.

측량을 비롯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의 GPS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신속하고 정밀한 위치정보 취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현재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의 해외 여러 나라에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이메일과 FTP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측파일을 처리하는 자동화된 GPS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구축, 운영 중에 있다. 우리나라도 GPS 시장 확대와 더불어 일반 사용자의 접근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한 위치정보 제공이 가능한 웹을 기반으로 하는 자동 GPS 기선해석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시스템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반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과학기술용 자료처리 엔진을 이용하여 3개의 상시관측소를 네트워크 방식으로 자료처리를 실행하며, 결과는 보고서 형식으로 작성되어 사용자의 이메일로 전송된다. 본 시스템은 일반 사용자의 간편한 고정밀 GPS 자료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향후 대형 구조물 모니터링, 민간분야 공간정보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GPS를 적용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5. 온라인 GPS 위치정보제공 시스템 개발. 1쪽.
  2. 국토지리정보원. 2010. 고시 제2010-189호.
  3. 박관동, 김혜인, 원지혜. 2007. 국토지리정보원 GPS 상시관측소 관측환경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25(4):337-345쪽.
  4. 서용철. 2009. GPS 이론과 응용. 시그마프레스. 4쪽.
  5. 전재한, 권재현, 이지선. 2008. 시뮬레이션을 통한 GPS 오차의 영향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26(4):397-405.
  6. 최정민. 2000. 지적재조사를 위한 GPS 상시관측소 운영에 관한 연구. 지적 308. 52-57쪽.
  7. Misra, P. and P. Enge. 2006. Global Positioning System: Signals, Measurements, and Ferformance. GangaJamunal. pp.274-275.
  8. AUSPOS. 2011. http://www-b.ga.gov.au/bin/gps.pl
  9. CSRS(Canadian Spatial Reference System). 2011. http://www.geod.nrcan.gc.ca/index_e.php
  10. OPUS(Online Positionning User Service). 2011. http://www.ngs.noaa.gov/OPUS
  11. SOPAC(Scripps Orbit and Permanent Array Center). 2011. http://sopac.ucsd.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