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ngitudinal Study of Social Network Trajectory among Widowed Middle and Older Adults

중·노년기 배우자 사별 전후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 Received : 2011.08.31
  • Accepted : 2011.10.27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how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change among widowed middle and older adult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al predictors of the social network change. Data was obtained from men and women between 45 to 98 years of age(N=118) who were bereaved by the death of their spouse since the first wave survey and participated in the second wave survey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ir social network after the bereavement was strengthened centered around children; for example, the number of adult children living in proximity to the parent, frequency of contact with children, and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support from children generally increased. Second, the social network change pattern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uch as "overall increased type," "children-centered increased type," "children/close relationship-centered increased type," and "stagnation type." Finally, the health condition of the widowed middle and older adults was a strong predictor of the social network change.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자 사별 전후에 사별자가 제공받는 사회적 지지원의 변화, 즉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및 기능적 측면의 변화에 대해 기술하고, 그 사회적 관계망 변화양상을 예측하기 위한 개인적 요인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2006년) 및 2차(2008년) 기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차 조사 이후에 배우자와 사별한 중·노년층 118명을 대상으로 1, 2차 조사 기간 동안에 개인이 보유, 경험한 사회적 관계망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추적, 검토하였다. 구조적, 기능적 사회적 관계망은 동거자녀 유무, 자녀와의 지리적 근접성, 비동거 자녀와의 접촉 정도, 친밀한 인간관계 접촉 정도, 자녀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그 밖의 관계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로 측정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사별 후에 근거리 거주 자녀, 자녀와의 접촉빈도, 자녀로부터의 지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사별 직후의 사회적 관계망의 변화는 주로 자녀를 중심으로 강화됨을 알 수 있다. 둘째, 사별 전후 사회적 관계망 변화양상은 "전반적 증가형", "자녀중심 증가형", "자녀/친밀한 관계중심 증가형", "정체형"으로 유형화되었다. 셋째, 사별자의 건강상태가 사별 전후 사회적 관계망 변화를 예측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11학년도 경성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