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령자가구의 가구소비 여력 결정요인 연구

The Study of Determining of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Consumption Strength

  • 투고 : 2011.05.19
  • 심사 : 2011.08.01
  • 발행 : 2011.08.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제1~2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첫째, 가구소득 및 가구동원가능자산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을 통해 국내 중·고령가구의 소비여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가구소비 결정요인을 추정하여, 국내 중·고령가구의 소비에 있어서 가구특성들 중 어떠한 요인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먼저 가구 소비여력인 가구소득 및 가구동원가능자산에 대한 분석 결과, 여러 설명변수들 중에서도 특히, 교육수준이 높고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자가 거주와 근로상태인 경우, 그리고 특수직역연금을 수급하는 중·고령자가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구소득과 가구동원가능자산과 같은 소비 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차 자료를 대상으로 가구소비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연간가구 가처분소득과 가구동원가능자산이 많을수록, 가구원수가 많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광역시에 거주하고 자가 거주주택을 보유하고 있을수록, 근로행위를 하거나 특수직역연금을 수급하는 가구일수록 가구 소비를 증가시킬 유인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연령이 높을수록, 국민연금을 수급하거나 남성일 경우 가구 소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major factors affecting domestic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strength in consumption using the first and second wave of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First, household income and household liquid assets which are the strength in household consumption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among various explaining variables, aged and elderly households with the higher education level and more household members, those in self-owned residence and in a state of labor and those which are the beneficiaries of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scheme show relatively the same high level of strength in consumption. Then, the determining factor of household consumption was assumed based on the second wave of data and as a result, those with more yearly household disposable income and household liquid assets, those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with self-owned homes, those engaged in labor practice or which are the beneficiaries of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scheme are more likely to have a relatively bigger contributory factor in increasing household consumption. By contrast, household's consumption decrease in the case of those with higher age, those who are the beneficiaries of national pension or those who are ma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