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 Lin, Qin Lan (Hospital of Beihua University, Dept. of Nur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ee Kyung (Dept. of Nur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Health Industry Research Institute) ;
  • Ann, Jung Sun (Dept. of Nur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Health Industry Research Institute)
  • 림금란 (중국 북화대학병원,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 김희경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건강산업연구소) ;
  • 안정선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건강산업연구소)
  • Received : 2010.08.31
  • Accepted : 2011.02.26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Subjects were 129 elderly living alone at K city in C province, from June to July, 2010.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degree of depression of elderly living alone was above the average(2.65), and that of quality of life was average(2.80). The correlated factors of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cluded depression(r=-.745, p=.004), social support(r=.544, p=.000), leisure activity(r=.480, p=.024), and economic activity(r=.711, p=.001). Social support was an important mediator between th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were not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considered i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programs designed for elderly living alone.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refin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social activity including leisure activity, economic activity and volunteer ac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활동의 역할 즉 조절 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정하여 그들의 우울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서술적 조사연구로써 K시의 여성독거노인 129명을 대상으로 2010년 6월부터 7월 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고, SPSS Win 18.0 program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여성독거노인의 평균 연령은 77.5세, 평균 독거기간은 14년이었다. 여성독거노인의 우울은 2.65점(±.42)으로 보통이상의 우울을 경험하고, 삶의 질은 2.80점(±.57), 사회적 지지는 3.34점(±.57)으로 보통정도의 삶을 영위하며 중간정도의 사회적 지지를 받는다고 생각하였다. 사회적 활동 중 여가활동은 3.75점(±1.08), 봉사활동은 3.80점(±.00)으로, 여가활동 시 보통이상의 만족도를 가지며, 경제활동은 2.84점(±1.00)으로 경제활동 시 보통정도의 만족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독거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은 역 상관관계(r=-.745, p=.004)이며, 사회적 지지(r=.544, p=.000), 여가활동(r=.480, p=.024)과 경제활동(r=.711, p=.001)은 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는 없었고 사회적 활동의 매개효과도 없었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가 없어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활동이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상호작용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할 수 없다.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독거노인의 우울은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그 정도가 완화되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도록 유도하며, 사회적 활동에 대한 조절효과와 매개효과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