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Cultural Marketing of Korean Casual Brands

캐주얼 브랜드의 사회적 책임과 문화마케팅에 대한 연구

  • Kim, Eun-Gye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ung, Hee-W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7.09
  • Accepted : 2010.08.31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culture marketing on corporate image and brand equity in the casual wear market. In addition, whether corporate image and brand equity have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is investigated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a local area. Two casual brands, Polham and Tate a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data are collected from male and female adolescents living in a local area wit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total of 402 useful data are analyzed by SPSS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ulture marketing, corporate image, and brand equity of two brands. Second, environmental cultural support, social contribution, and economical responsibility of CSR present positive influences on corporate image and brand equity in common between two brands. Especially environmental cultural support of fashion business is highly important to improve corporate image and brand equity. Third, cultural direction and cultural business marketing are more influential than cultural sales promotion or cultural support marketing to improve corporate image and brand equity. Fourth, corporate image does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but brand equity factors show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conclusion, fashion companies should commit to perfor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ulture marketing that are suitable to target market for the long term, since these efforts would improve corporate image and build brand equity.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석. (2002). 기업이미지 광고가 기업의 인지도 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소영, 곽영식. (2003). 기업이미지와 문화예술분야 적합도 모델을 이용한 기업메세나 전략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6(1), 103-133.
  3. 김연수. (1986). CIP와 상표전략. 서울: 화학사, p. 14.
  4. 김이태. (2008). 기업이미지가 고객가치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1), 75-85. https://doi.org/10.5392/JKCA.2008.8.1.075
  5. 김이환. (2005). 사회책임활동과 기업평판의 관계에 관한 연구 :5개 업종, 10개 기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정현. (2002). 브랜드 자산관리 매뉴얼. 금강기획 마케팅전략연구소.
  7. 김준래. (2000). 기업 이미지가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해룡, 김나민, 유광희, 이문규. (2005).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척도개발. 마케팅연구, 20(2), 67-87.
  9. 김혜정, 임숙자. (2002). 고객평가에 기초한 패션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6), 680-696.
  10. 문성준, 홍성민. (2006). 기업 브랜드 자산과 제품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태도의 관계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7(4), 319-346.
  11. 박병우. (2005). 기업이미지와 문화스폰서십의 관계 :기업의 업종이미지와 문화의 유형별 이미지를 중심으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상금. (2006).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이미지, 구매의도 및 고객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대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박상진, 조윤진, 정인희. (2009). 고등학생의 의복 착용 동기, 캐주얼 브랜드 선호 및 구매 실태에 나타나는 지역과 성별 차이. 한국의류학회지, 33(4), 574-585. https://doi.org/10.5850/JKSCT.2009.33.4.574
  14. 박현희. (2005). 브랜드 사전지식, 사전 브랜드 태도, 지각된 품질이 VMD 인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5), 519-526.
  15. 사회적 책임 국제표준(ISO26000)이 국제표준안(DIS)으로 등록. (2009, 4. 13).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자료검색일 2009, 10. 5, 자료출처 http://www.kats.go.kr
  16. 신강균. (2000). 기업 PR캠페인이 브랜드 자산 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브랜드 자산측정에 대한 실증 및 사례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2(2), 193-219.
  17. 심상민. (2002). 문화마케팅의 부상과 성공전략.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372호.
  18. 심상민. (2007). 문화콘텐츠산업 트렌드 변화 분석. 인문콘텐츠학회, 9(6), 187-204.
  19. 안길상. (2008). 문화마케팅. 서울: 한경사, pp. 12-44.
  20. 안광호. (2003). 마켓리더의 브랜드 경영 :이성적&감성적 마케팅 접근. 서울: 학현사, pp. 10-120.
  21. 양희순, 이유리. (2009). 청소년의 패션 혁신성에 따른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에 대한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33(4), 666-677.
  22. 오세종. (2008). 기업인식에 따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이 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유재하. (2004). 브랜드 자산의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소비자와 브랜드간의 감성-관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미숙. (2009).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사회적 자아개념과 의복행동간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3), 433-443. https://doi.org/10.5850/JKSCT.2009.33.3.433
  25. 이상빈. (2007). 기업이미지와 브랜드자산 간의 관계. 광고연구, 76(3), 97-118.
  26. 이승희, 김미영. (2006). 패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4(4), 684-697.
  27. 정석순. (2003). 기업의 문화마케팅이 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전경. (2006). 문화마케팅이 기업이미지 및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진종훈, 양해술. (2008). 기업의 문화마케팅이 기업이미지제고를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4), 147-154. https://doi.org/10.5392/JKCA.2008.8.4.147
  30. 테이트 & 메이폴, 변신? (2009, 8. 8). 한경닷컴 bnt뉴스. 자료검색일 2010, 8. 27, 자료출처 http://fashion.hankyung.com
  31. 테이트 질주는 멈추지 않는다. (2009, 8. 7). 텍스헤럴드. 자료검색일 2009, 11. 20, 자료출처 http://www.fashionn.com
  32. 한국경영학회. (1994). 한국의 기업윤리. 서울: 세경사, p. 28-29.
  33. 한은경. (2003).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지수화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7(3), 274-303.
  34. 함민정. (2009, 11. 2). 1520세대 겨냥, ‘쿨캐주얼’과 로그인. 패션비즈. 자료검색일 2010, 8. 27, 자료출처 http://fashionbiz.co.kr
  35. 홍민지. (2008). 패션기업의 아트마케팅 활동에 관한 연구: 국내외 패션기업의 아트마케팅사례와 소비자 인식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홍성태, 손일권. (1998). 브랜드 포트폴리오 특성과 기업 이미지가 소비자의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19(2), 243-27
  37. 2008년을 빛낸 베스트 패션브랜드. (2008, 11. 24). 패션인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6. 17, 자료출처 http://www.fi.co.kr
  38. Aaker, D. A. (1994). 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관리 (마케팅연구 역). 서울: 나남. (원저 1991 출판)
  39. Barich, H., & Kotler, P. (1991). A framework for marketing image management. Sloan Management Review, 32(2), 94-104.
  40. Brown, T. J., & Dacin, P. A. (1997). The company and the product:Corporate associations and consumer product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61(1), 68-84. https://doi.org/10.2307/1252190
  41.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https://doi.org/10.2307/1252054
  42. Lechner, F. J. (2006). World Culture : Origins and Consequences. Blackwell Publishers.
  43. Winters, L. C. (1986). The effect of brand advertising on company image: Implications for corporate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6(4/5), 54-59.

Cited by

  1. Evalu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or fashion company's sustainable management-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perceived fit and motivation - vol.23, pp.4, 2015, https://doi.org/10.7741/rjcc.2015.23.4.644
  2. Cause-Related Marketing in the Fashion Industry: The Role of Consumer Identification vol.16, pp.5, 2014, https://doi.org/10.5805/SFTI.2014.16.5.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