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ow Chemyon Influence Consuming Behaviors for the Luxury Brands

체면이 명품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uh, Yong-Han (Dept. of Distribution Management, Ulsan College) ;
  • Oh, Hee-Sun (Dept. of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Jeon, Min-Ji (Dept. of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서용한 (울산과학대학 유통경영과) ;
  • 오희선 (부경대학교 디자인학부) ;
  • 전민지 (부경대학교 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0.06.01
  • Accepted : 2010.07.29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uxury brand value on luxury brand preferences according to chemyon(social-face). For data collection,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by 222 females over 20 years old consumers living in Pusan and Ul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for windows Package by frequency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using Varimax, reliability analysis,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chow-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worth of luxury brands that qualify value, conspicuous value, unique value, and emotional value significantly affected the consumers' luxury brand preferences. On the other hand, only social value of the luxury brand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s luxury brand preferences. Second,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luxury brand value has an effect on the brand preferences according the consumer's chemyon or not. The results showed different effects of perceived values on luxury brand preferences between the low chemyon group and the high chemyon group. The high chemyon group had an effect on conspicuous value, social value, and emotional value, while the low chemyon group had an effect on quality value for luxury brand preference.

Keywords

References

  1. 김성배, 배일현. (2005). 명품선호도의 선행변수 및 그 결과에 관한 연구-백화점 명품구매 고객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23(2), 29-51.
  2. 김재휘, 김태훈, 전진안. (2008). 체면이 비계획적 상향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9(2), 149-168.
  3. 김선숙. (2005). 매스티지 명품에 관한 고찰(제1보)- 추구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11), 1381-1388.
  4. 김미정. (2008). 명품브랜드의 가치, 관계품질 및 향후 행동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20대 여대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양하. (2005). 상징소비의 문화.사회적의미 분석: 상징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개인적, 사회적 요인의 다차원적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재문. (2009, 5. 29). LG경제연구원. 자료검색일 2010, 7. 21, 자료출처 http://www.lgeri.com
  7. 두산동아백과사전. (2003). 서울: 두산동아출판사.
  8. 박민주, 이유리. (2005). 패션 명품 소비자의 상표 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1), 1485-1497.
  9. 배준환. (2004). 명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소비자 가치와 브랜드 기능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불황에도 백화점 명품매출. (2010, 3. 29). 헤럴드경제. 자료검색일 2010, 7. 21, 자료출처 http://www.biz.heraldm.com
  11. 성영신. (1994). 한국인의 그릇된 물질주의와 과소비 유형. 한국심리학회지, 1(1), 69-82.
  12. 신종국, 공혜경, 강명주. (2006). 명품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감정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1(1), 39-62.
  13. 송지은. (2008). 성인여성의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명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승희, 이랑, 정소연. (2003). 패션 명품브랜드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41-1251.
  15. 유승엽. (2007). 한국인의 문화심리 특성요인과 의례소비. 한국심리학회지, 8(2), 205-233.
  16. 임지훈, 김형석, 이학식. (2006). 브랜드 명품성 측정도구의 개발. 광고연구, 73, 185-216.
  17. 안충영, 홍성표, 박완규. (2000). 기초 계량경제학(제3판). 서울: 진영사.
  18. 조희정. (2009). 미혼여성의 소비성향 및 소비윤리가 명품 및 명품 복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장은영, 이규혜. (2002). Underlying values of prestige seeking and its influence on brand loyalty in clothing consumption. 복식문화연구, 5(2), 102-114.
  20. 잘 나가는 명품시장 일등공신은 '2030' 여성. (2009, 10. 23). 한국경제. 자료검색일 2009, 10. 25, 자료출처 http://www.hankyung.com
  21. 지식경제부. (2009). 2009. 9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 지식경제부 자료검색일 2009, 10. 19, 자료출처 http://www.mke.go.kr
  22. 최상진, 김기범. (2000). 체면의 심리적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14(1), 185-202.
  23. 최상진, 유승엽. (1992).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6(2), 137-157.
  24. 최상진, 최인재. (1999). 정(情), 체면(體面)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4(1), 41-56.
  25. 최선형. (2001).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42-854.
  26. 최선형. (2003). 지각된 제품 특성과 과시적 소비 성향이 패션 명품 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2), 209-218.
  27. 최창호. (1993). 체면과 자기존중감, 통제성향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황진숙, 양정하. (2004). 패션제품의 명품 추구혜택과 상표충성도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862-871.
  29. 한수진. (2007). 명품구매경험에 따른 명품구매행동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3), 137-149.
  30. 한준오. (2004). 한국인의 체면민감성과 신분-가문의식이 과시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한승수. (2005). 자아표현적 소비 성향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바람직성(social desirability) 통제에 의한 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지, 49(6), 493-516.
  32. 한글학회. (1991). 우리말 큰 사전. 서울: 어문각
  33. Dubois, B., & Laurent, G. (1994). Attitude towards the concept of luxury: an exploratory analysis. Asia-Pacific Advanced in Consumer Research, 1(2), 273-278.
  34. Dubois, B., & Duquesne, P. (1993).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7(1), 35-45. https://doi.org/10.1108/03090569310024530
  35. Grossman. G. M., & Shapiro, C. (1988). Counterfeit-product trade. The American Economics Review, 78(3), 59-75.
  36. Nia, A., & Zaikowsky, L. (2000). Do counterfeits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7), 485-497. https://doi.org/10.1108/10610420010351402
  37. Shah, D. (2000). A new definition luxury. Textile View, 52, 6-7.
  38. Vigneron, F., & Johnson, L. W. (1999). A review and a conceptual framework of prestige-seeking consumer behavior.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Review, 99(1), 484-506.

Cited by

  1. The influences of psychological and consumption-related variables on fashion consciousness vol.22, pp.6, 2014, https://doi.org/10.7741/rjcc.2014.22.6.979
  2. Differences in Preference Depending on Signal Explicitness when Selecting Fashion Luxury Brand -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strual and Implicit Theory - vol.66, pp.1,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1.013
  3. The Effects of Fashion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Groups vol.36, pp.11, 2012, https://doi.org/10.5850/JKSCT.2012.36.11.1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