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oking and Art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ementia Patients

요리 미술 활동이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Jung, Chun-Im (Bluebird Children's House) ;
  • Kim, Yi-Soon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Natural Science, Dongeui University) ;
  • Lee, Hai-Woo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im, Gyeong-Cheol (Department of diagnost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정춘임 (파랑새 아이들의 집) ;
  • 김이순 (동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간호학과) ;
  • 이해웅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경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 Received : 2011.03.18
  • Accepted : 2011.04.11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oking and art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ementia patients. Meth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34 dementia patients (experimental group: 17 persons, control group: 17 persons) at 65 years old or more who correspond to a total MMSE-M, MMSE-K point between 15 and 23 points instituted in a specialized nursing facility in Busan from November 30, 2007 to February 20, 2008.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In previous survey, the study measured poin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cognitive function and melancholy. To the experimental group, cooking art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or 90 minutes every time and once every week for 12 weeks. Results: Analysis on data was performed using SPSS/WIN 14.0. In addition $x^2$-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were used for testing of homogeneity and ANOVA was performed for testing of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ypothesis 1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cooking art activities will show a higher point of cognitive function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cooking art activities' was supported (F=65.497, p<0.001). 2. Hypothesis 2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cooking art activities will show a lower point of melancholy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cooking art activities' was supported. (F=27.463, p<0.001) Conclusions: From the above results, cooking art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rease in cognitive function and reduction in melancholy of dementia patients.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08.
  2. 오병훈. 노인성 치매-원인 및 감별진단. 대한의학협회지. 1994; 37: 785-790.
  3. Morris JC, Rubin EH, Morris EJ, Mandel SA. Senile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serious falls. J Gerontol. 1987; 42: 412-417. https://doi.org/10.1093/geronj/42.4.412
  4. 김귀분. 치매노인의 현황과 전망. 대한간호. 1998;37: 16-24.
  5. 이정희. 치매환자간호. 진단과 치료적 접근, 보수교육 교재. 서울, 대한간호협회, 1997, 7-17.
  6. 김정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자극 훈련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7; 8: 197-210.
  7. Abraham IL, Reel SJ. Cognitive nursing interventions with long-term care residents: effects on neurocognitive dimensions. Arch Psychiatr Nurs. 1992; 6: 356-365. https://doi.org/10.1016/0883-9417(92)90088-Z
  8. 강문희. 원예요법을 적용한 간호중재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인지, 정서, 의사소통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Rentz CA. Reminiscence. A supportive intervention for the person with Alzheimer's disease. J Psychosoc Nurs Ment Health Serv. 1995; 33: 15-20.
  10. 권자연, 김정순.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8; 9: 15-18.
  11. Bright R. 김례승 역. Music therapy and Dementia. MMB Music. INC. Korea agency. 서울, 무수막, 1997, 59.
  12. Casby JA, Holm MB. The effect of music on repetitive disruptive vocalizations of persons with dementia. Am J Occup Ther. 1994; 48: 883-889. https://doi.org/10.5014/ajot.48.10.883
  13. 김부영. 치매간호중재로 실시한 원예, 음악, 미술요법의 효과비교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1;40: 51-63.
  14. 지혜련. 치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5. 류장학. 인지행동프로그램이 지역사회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6. 오병훈. 치매의 이해와 치료의 바른 길잡이. 서울, 도서출판 무지개사, 2002, 30-42.
  17. 정정심. 민속놀이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8. 정연희. 요리활동에서의 요리재료의 변화에 대한 유아의 이해구축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9.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아문화사, 1994, 253-267.
  20. 류정자.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및 우울정서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1.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riences(2nd Ed).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2.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975; 12: 189-198. https://doi.org/10.1016/0022-3956(75)90026-6
  23.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의 표준화 연구 제 1편 : MMSE-K 개발. 신경정신의학. 1989;28: 125-135.
  24. Sheikh JI, Yesavage JA.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 Gerontol. 1986; 5: 165-173. https://doi.org/10.1300/J018v05n01_09
  25.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1996; 35: 298-307.
  26. 김지혜. 우울.공격성을 보이는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7. 김영숙. 회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8. 하재연. 치료 레크레이션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9. 전은경. 색체경험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0. 김지희. 회상요법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1. 윤종호.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2. 윤영옥.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3. 이은철, 송정은, 안석균, 오병훈, 이홍식, 오희철, 구은형, 황혜숙, 유계준. 노인 낮병원의 심리 사회적 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경인지기능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효과. 신경정신의학. 1999; 38:933-943.
  34. 김정모, 강수균, 장현갑. 알츠하이머 치매의 심리치료 고찰, 정서.학습 장애 연구. 2003; 19:157-181.
  35. 박맹순. 통합적 간호중재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6. Beck A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Y: Harper & Row Publishers Inc. 1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