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278 Cases Who were Medicated with Cheonga-won

청아원을 사용한 환자 278례에 대한 증례 분석

  • Kang, Jae-Hui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heonan Oriental Hospital, Daejeon University) ;
  • Lee, Hyun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heonan Oriental Hospital, Daejeon University) ;
  • Choi, Joo-Young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heonan Oriental Hospital, Daejeon University) ;
  • Yoon, Kwang-Sik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heonan Oriental Hospital, Daejeon University)
  • 강재희 (대전대학교 부속천안한방병원 침구과) ;
  • 이현 (대전대학교 부속천안한방병원 침구과) ;
  • 최주영 (대전대학교 부속천안한방병원 침구과) ;
  • 윤광식 (대전대학교 부속천안한방병원 침구과)
  • Received : 2011.01.20
  • Accepted : 2011.02.09
  • Published : 2011.02.20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general distribution that was medicated with Cheonga-won. Methods : The 278 patients who were medicated with Cheonga-won more than two weeks in Cheonan oriental hospital, Daejeon university from December 2007 to December 2010 were observed. The other general oriental therapys were also carried out according to individual condition. The 278 pati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ex, age, the period of medication, symptoms, the change of VAS score and T-score, side effects and abnormal reactions. Results : 1. Cheonga-won was mostly used for Shin-huh, which induces lower back pain, knee pain, vertigo, dysuria, tinnitus. 2. More patients in their fifties, sixties and seventies were prescribed with the medication than thos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3. After medication with Cheonga-won, there are tendency in reduce chronic pain. 4. After medication with Cheonga-won, there are tendency in increase BMD(bone mineral density). 5. There are no side effects and abnormal reaction cases that related with Cheonga-won. Conclusions : Cheonga-won was used in Shin-huh symptoms, and may be effective in reduce chronic pain, improve Shin-huh symptoms and increase BMD.

Keywords

References

  1. 이경우 역. 황제내경 소문. 서울 : 여강출판사. 2007 : 11, 170-1, 397, 643-4, 656-7.
  2.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 서울 : 군자출판사. 2003 : 105-7.
  3. 두호경. 동의신계학. 서울 : 성보사. 2003 : 5-17, 28-41.
  4. 오하식, 김호철, 이상인, 안덕균. 두충의 수피와 잎이 난소적출로 유발한 흰쥐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1995 ; 10(1) : 59-68.
  5. 최홍식. 쇄양과 두충이 골다공증 유발 후 흰쥐의 골밀도와 체중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8 ; 23(2) : 19-24.
  6. 이진아, 반혜란, 양승증, 조성희, 진천식. 숙지황이 난소적출로 유발된 흰쥐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 17(4) : 112-24.
  7. 이상곤, 권영규, 김광중, 김완희. 사물탕과 육미지황탕이 난소적출로 유도된 백서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제한동의학술원 논문집. 1995 ; 1(1) : 31-48.
  8. 최진경, 유동열. 가미좌귀음이 난소적출로 유도된 백서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 ; 19(2) : 107-26.
  9. 민경헌, 조한백, 김종환, 김철원, 유심근. 청아환가미가 난소적출 백서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 ; 14(1) : 58-72.
  10. 陳師文. 太平惠民和劑局方. 旋風出版社. 1988 : 32-3.
  11. 허준. 동의보감. 동의보감출판사. 2005 : 706.
  12. 김민수, 서부일, 곽민아, 지선영. 청아지황탕이 난소적출로 유발된 흰쥐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3 ; 18(2) : 49-58.
  13. 권혁태, 서부일, 김선희, 김미려. 보골지가 난소적출 유발된 흰쥐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1997 ; 12(2) : 21-38.
  14. 윤석주. 두충 추출물 투여와 트레드밀 운동이 골다공증 유발 백서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 ; 22(4) : 884-90.
  15. 沈霖, 杜淸遠, 楊家玉 외. 靑娥丸加味治療老年性骨 質粗鬆症52例觀察. 湖北中醫雜誌. 1994 ; 3 : 16-8.
  16. 진우제, 유태영, 진영호, 이재백. 급성 통증의 평가를 위한 Visual Analogue Scale (VAS)의 신뢰성 검토. 대한응급의학회지. 2003 ; 14(1) : 61-5.
  17. Raisz LG. Local and systemic factors in the pathogenesis of osteoporosis. N Eng J Med. 1988 ; 318(13) : 818-28. https://doi.org/10.1056/NEJM198803313181305
  18. 해리슨 번역 편찬위원회 역. Harrison's 내과학. 서울 : 정담. 1997 : 2342-8.
  19.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Available from :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20. 보건복지가족부. 2008 국민건강통계.
  21. 이재오, 김흥열. 폐경기 여성에서 에스트로겐 보충 요법과 Pamidronate가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2 ; 45(2) : 285-91.
  22. 골다공증 진단 및 치료지침 2007. 대한내분비학회지. 2008 ; 23(2) : 76-108.
  23. 조수인. 숙지황이 난소적출로 폐경이 유발된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5 ; 20(4) : 61-7.
  24. 이상곤, 권영규, 김경중, 김완희. 사물탕과 육미지황탕이 난소적출로 유도된 백서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학회지. 1997 ; 12(1) : 1-18.
  25. 한의과대학 본초학 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 : 영림사. 2004 : 605-7, 609-10, 618-9.
  26. 김종환, 김송백. 보골생수교낭가감이 난소적출 백서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 ; 14(1) : 4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