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간 병변 발견에 있어 1.5-T 자기공명영상에서 자유 호흡 확산강조 영상과 호흡 유발 확산강조 영상의 유용성을 비교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47명의 환자(평균 57.9세, 남성:여성 = 25:22)가 한번의 간 자기공명 영상검사에서 자유호흡 확산 강조 영상과 호흡유발 확산 강조 영상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이를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호흡유발 이미지 세트(B50, B400, B800 확산강조 영상과 ADC map)와 자유호흡 이미지 세트를 2주간의 시간 간격을 두고 무작위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영상분석을 위하여 특정영역(ROI)를 설정한 후에 간의 신호대 잡음비 (signal-to-noise ratio, SNR)와 대조도(contrast-to-noise ratio, CNR)를 계산하였다. 결과: 32개의 낭종, 13개의 혈관종, 7개의 간세포암, 6국소 호산구성 간질환, 2개의 전이, 1개의 초점성 결절성 과증식과 글리슨막의 가성지방종을 포함하는 총 62개의 병변이 두 명의 평가자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없었으나, 전체적인 병변 발견의 sensitivity는 호흡유발 확산강조 영상이 [평가자 1:평가자 2, 47/62(75.81%):45/62(72.58%)] 자유호흡 확산강조 영상보다 [44/62(70.97%):41/62(66.13%)]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1 cm보다 작은 국소 간 병변 발견의 sensitivity는 호흡유발 확산강조 영상이 [24/30(80%): 21/30(70%)] 지유호흡 확산강조 영상보다 [17/30(56.7%):15/30(50%)] 더 우월하였다. 진단적 정확도활 계산하기 위하여 ROC curve (Az value)를 구하였으며 자유호흡 확산강조 영상과 호흡유발 확산강조 영상간에는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간의 신호대 잡음비 (SNR)와 대조도 (CNR)는 호흡유발 확산강조 영상이 ($87.6{\pm}41.4$, $41.2{\pm}62.5$) 자유호흡확산강조 영상보다 ($38.8:{\pm}13.6$, $24.8{\pm}36.8$) 높았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p value < 0.001). 결론: 1.5-T자기공명 시스템서 1 cm보다 작은 간 병변발견에 있어서 호흡유발 확산강조 영상이 자유호흡 확산강조 영상보다 좋으며 이는 호흡유발 확산강조 영상이 높은 신호대 잡음비 (SNR)와 대조도(CNR)를 보이기 때문이다.
Purpose : To compare free-breathing and respiratory-triggered diffusion-weighted imaging on 1.5-T MR system in the detection of hepatic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ingle-institution study was approved by our institutional review board. Forty-seven patients (mean 57.9 year; M:F = 25:22) underwent hepatic MR imaging on 1.5-T MR system using both free-breathing and respiratory-triggered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at a single examination. Two radiologists retrospectively reviewed respiratory-triggered and free-breathing sets (B50, B400, B800 diffusion weighted images and ADC map) in random order with a time interval of 2 weeks. Liver SNR and lesion-to-liver CNR of DWI were calculated measuring ROI. Results : Total of 62 lesions (53 benign, 9 malignant) that included 32 cysts, 13 hemangiomas, 7 hepatocellular carcinomas (HCCs), 5 eosinophilic infiltration, 2 metastases, 1 eosinophilic abscess, focal nodular hyperplasia, and pseudolipoma of Glisson's capsule were reviewed by two reviewers. Though not reaching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overall lesion sensitivities were increased in respiratory-triggered DWI [reviewer1: reviewer2, 47/62(75.81%):45/62(72.58%)] than free-breathing DWI [44/62(70.97%):41/62(66.13%)]. Especially for smaller than 1 cm hepatic lesions, sensitivity of respiratory-triggered DWI [24/30(80%):21/30(70%)] was superior to free-breathing DWI [17/30(56.7%):15/30(50%)]. The diagnostic accuracy measuring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Az value) of free-breathing and respiratory-triggered DWI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Liver SNR and lesion-to-liver CNR of respiratory-triggered DWI ($87.6{\pm}41.4$, $41.2{\pm}62.5$) were higher than free-breathing DWI ($38.8:{\pm}13.6$, $24.8{\pm}36.8$) (p value < 0.001, respectively). Conclusion: Respiratory-triggered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seemed to be better than free-breathing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n 1.5-T MR system for the detection of smaller than 1 cm lesions by providing high SNR and CN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