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소재를 활용한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

Activities of Mathematical Problem Posing Using Real-Life Materials

  • 최혜진 (대구 내당초등학교) ;
  • 김상룡 (대구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 투고 : 2011.02.22
  • 심사 : 2011.04.16
  • 발행 : 2011.04.30

초록

수학 문제 만들기를 통한 학생들의 사고와 태도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 소재를 활용한 수학 문제 만들기'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3가지의 생활 소재의 그림을 선정하여 문제 만들기 단계에 따라 문제 만들기를 실시하여 적용하였다. 생활 소재를 활용한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와 수학적 태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위치한 N초등학교 5 학년 1개 학급을 연구반으로 선정하였다.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두었으며, 교사의 관찰, 피드백, 질문, 학생의 문제 만들기 결과물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와 수학적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생활 소재를 활용한 문제 만들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수학에 흥미를 가지고, 생활 속의 수학을 발견하고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학적 경험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의 결과 문제 만들기 활동에 처음 접한 학생들은 각자의 경험과 학습 수준에 따라 문제 만들기 능력이 차이가 있었으며, 문제 만들기를 어려워하였다. 아이들은 새로운 문제 상황을 찾아내어 문제를 만들고, 문제에 사용하는 수학 용어와 단위, 숫자의 사용이 점차 실제적이고 적절하게 되었다. 만든 문제의 수도 처음 보다 더 많이 만들어 내었고, 조건을 자세히 제시하거나 더 어렵게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problem posing activities using real-life materi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n students' mathematical thoughts and attitudes through the activities. This study is conducted via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a 5th grade class of 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city.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is study focused on processes of problem posing rather than results. The problems applying new situations appear, and the used mathematical terms, units, and figures became more practical. The numbers of problems made are increased gradually, and more complex conditions are added as activities are performed. Most of the students revealed interests about problem making activit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