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rban Climate Mapping Method Using GIS

GIS를 이용한 도시기후지도 제작방안 연구

  • 최병길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도시환경공학부) ;
  • 조태인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나영우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기술연구소) ;
  • 이광원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4.11
  • Accepted : 2011.04.13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10 investigate the method to produce urban climate map so a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efficiently control greenhouse gas in the city by using GIS. To produce urban climate map by using GIS, statistical data and spatial data of greenhouse gases related to climate chang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urban climatop and urban climate change was analyzed by establishing GIS framework data construction method to prepare urban climate map and preparing and analyzing urban climate map related to the demonstration area. It was found that exact greenhouse gases emission quantity and absorption quantity can be calculated for each type of urban climatop by preparing urban climate map and the temperature is high in residential area, commercial area and industrial area and the emission quantity per unit area is high in the traffic area and industrial area. It seems that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can be presented for urban development by suggesting urban climate change for type of urban climatop and they can be utilized to save energy in urban area and to establish greenhouse gases reducing policy.

이 연구의 목적은 GIS를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도시의 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시지역의 기후지도 제작방안에 대하여 연구하는데 있다. GIS를 이용한 도시기후지도 제작을 위하여 기후변화와 관련된 온실가스 통계자료와 공간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고, 도시기후지도 제작 방안 정립, 도시기후지도 작성을 위한 GIS 프레임웍 데이터 구축방안수립, 시범지역에 대한 도시기후지도 작성 및 분석 등을 통하여 도시기후톱 유형과 도시 기후변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도시기후지도 작성을 통해 도시기후톱 유형별로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을 산정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가정지역, 상업지역, 산업지역에서의 기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통지역과 산업지역에서 단위면적당 배출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시기후톱 유형별 도시기후 변화를 제시함으로써 도시개발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을 제시하고,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을 위한 도시지역의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저감 정책 수립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민 (2000), 도시생태계 보전.복원을 위한 생태자연도 작성기법 개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 나정화, 이정민 (2003), 도시 비오톱의 경관생태학적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한국조경학회, 제 30권, 제 6호, pp. 128-140.
  3. 송영배 (2002), 도시기후지도의 작성.상계 4동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 한국조경학회, 제29권 제6호, pp. 27-36.
  4. 송영배, 김명수 (2002), 기후톱 유형분석 및 도시기후지도 작성기술 개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연구기반확충사업 M10022020002-01G050700610, 서울여자대학교, pp. 344-368.
  5. 오충현 (2001), 서울의 도시생태계 관리를 위한 비오톱 지도 활용방안,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6. 유가영, 김인애 (2008),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KEI 2008 RE-0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p. 37-43.
  7. Caeiro S., Costa M. H. Goovaerts P. and Martins F. (2005), Benthic biotope index for classifying habitats in the sado estuary: Portugal,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Vol. 60, pp. 570-593. https://doi.org/10.1016/j.marenvres.2005.04.002
  8. Niina K. and Helle S. (2006), Change trajectories and key biotopes-Assessing landscape dynamics and substantial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75, pp. 300-321.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5.02.011
  9. Sibel M., Veli O. and Osman K. (2006), Biotope mapping in an urban environment and its implications for urban management in Turkey,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81. pp. 175-187. https://doi.org/10.1016/j.jenvman.2005.1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