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eaching the system of numbers considering mathematical connections

수학적 연결성을 고려한 수 체계의 지도에 관한 연구

  • Chung, Young-Woo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Boo-Yoon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yo, Sung-Soo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3.04
  • Accepted : 2011.05.06
  • Published : 2011.05.25

Abstract

Across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deal with the algebraic conditions like as identity, inverse, commutative law, associative law and distributive law. The algebraic structures, group, ring and field, are determined by these algebraic conditions. But the conditioning of these algebraic structures are not mentioned at all, as well as the meaning of the algebraic structures. Thus, students is likely to be considered the algebraic conditions as productions from the number sets. In this study, we systematize didactically the meanings of algebraic conditions and algebraic structures, considering connections between the number systems and the solutions of the equation. Didactically systematizing is to construct the model for student's natural mental activity, that is, to construct the stream of experience through which students are considered mathematical concepts as productions from necessities and high probability. For this purpose, we develop the program for the gifted, which its objective is to teach the meanings of the number system and to grasp the algebraic structure conceptually that is guaranteed to solve equations. And we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developed program using didactical experiment. Moreover, the program can be used in ordinary students by replacement the term 'algebraic structure' with the term such as identity, inverse, commutative law, associative law and distributive law, to teach their meaning.

중등학교 전반에 걸쳐 항등원, 역원, 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이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대수적 구조의 조장으로 이들익 성립 여부에 따라 군, 환, 체로 결정되게 된다. 그런데 이을 대수적 구조의 조건들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이들 조건들이 만족됨에 따라 정해지는 대수적 구조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의외에 대한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로인해 학생들은 이들 조건을 대상 집합의 특성이라는 결과적 측면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 체계와 다항방정식의 해법과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조건들파 대수적 구조의 의의를 교수학적으로 조직화하기로 한다. 교수학적 조직화란 학습자의 자연스러운 사고활동을 위한 모델을 구성하는 것으로 역사적 발생과 함께 현대수학의 관점을 고려하여 수학적 개념이 필연성과 개연성을 가진 산물임을 경험시키도록 흐름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항방정식의 해법을 보장하기 위한 수학적 개념으로 대수적 구조를 파악하고, 수 체계의 의미를 지도하는 영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교수실험 하여 그 효용성을 알아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구광조.오병승.류희찬 공역 (2004). NCTM (1989).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 경문사.
  2. 권성룡.김남균.김수환.김용대.남승인.류성림.방정숙.신준식.이대현.이봉주.조완영.조정수 (2006).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서울: 경문사.
  3. 김부윤.정영우 (2010 a). 연산의 관점에서 본 등식의 성질에 관한 고찰, EAMJ, 26(2), 179-190.
  4. 김부윤.정영우 (2010 b). 삼각함수의 Mathematization에 관한 연구, EAMJ, 26(4), 487-507.
  5. 김부윤.정영우 (2010 c). 함수의 합성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수학교육>, 49(2), 149-160.
  6. 김부윤.정영우 (2010 d). Byproduct Mathematization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0(2), 145-161.
  7. 김응태.박승안 (2003). 현대대수학, 서울: 경문사.
  8. 류희찬.조완영.이경화.나귀수.김남균.방정숙 공역 (2008). NCTM (2000).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9. 방정숙.김재화 (2006).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소수 계산 오류와 선행지식 간의 연결 관계 분석 및 지도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3), 275-293.
  10. 정영우 (2010), 실수 체계의 교수학적 조직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片野善一郞 (1992). 數學史を活用した敎材硏究, 東京: 明治圖書出版株式會社.
  12. 草場公邦 (2010). ガロワと方程式, 東京: 朝倉書店.
  13. 浜稻雄譯 (2006). ガロワと群論, 東京: みすず書房.
  14. B. Baumslag, & B. Chandler (1968). Group Theory, NY:McGraw-Hill, Inc.

Cited by

  1.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나타난 수학적 연결의 대상과 방법 분석 vol.51, pp.4, 2011, https://doi.org/10.7468/mathedu.2012.51.4.455
  2. 인수분해공식의 기하학적 모델 구성에 대한 고찰 vol.36, pp.2, 2011, https://doi.org/10.7858/eamj.2020.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