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co-friendly Policy and Current State of Japanese Logistics

일본 물류분야에 대한 친환경정책과 현황에 관한 연구

  • 윤송한 (동양미래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1.12.2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roblem of global warming faced a big turning point due to the adoption of "Kyoto protocol"in 1997. Therefore, by enacting "Act on Advancement of Integration and Streamlining of Distribution Business"and "green logistics partnership council"to reduce $CO_2$ emission, fulfillment of distribution work is comprehensively and effectively supported by Japan. In particular, the green management certification system, which promotes green management based on the independent and planned environmental measures of transportation service of harbor employers, warehouse operators, and trucking employers of logistics sector, is promoted. As such, the Japanese government is actively promoting the eco-friendly green logistics policy to reduce $CO_2$ emission in terms of the prevention of global warming by building the comprehensive and efficient logistics system. Therefore, this thesis studied the status of the green logistics policy of Japan where the eco-friendly logistics system is being built ahead of Korea and as a result, it presented the implications on the green logistics strategy which is eco-friendly and can be developed continuously,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green logistics industry, the introduction of green logistics certification system, Departmental roles and responsibility of administrative agencies.

지구온난화 문제는 1997년 "쿄토의정서" 채택으로 큰 전환점이 되었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CO_2$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린물류 파트너십회의"와 "유통업무 종합화 및 효율화의 촉진에 관한 법률"등을 제정하여 유통업무의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수행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물류부문의 트럭운송사업자, 창고사업자, 항만운송사업자의 자주적 계획적인 환경대책을 기초로 그린경영을 추진하는 그린경영인증제도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본정부는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을 구축하여 지구온난화방지 차원에서 $CO_2$ 배출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그린물류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친환경물류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일본의 그린물류정책의 현황에 대해 고찰한 결과, 친환경적이고 지속발전 가능한 녹색물류전략, 친환경 녹색물류산업의 육성, 녹색물류인 증제의 도입, 행정기관의 부서별 책임역할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무총리실 기후변화대책기획단,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상세 자료, 2008, 2-5.
  2. 박석하.박정섭,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6, 163-186.
  3. 정헌배.이일한, "기업의 환경물류 실행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스연구 13권 1호, 2005, 19-41.
  4. 예충렬.윤종진, 일본의 친환경물류정책 현황과 시사점(정맥물류를 중심으로), 한국교통연구원, 2008, 1-84.
  5. 전형진.고현정, 국가 친환경 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Modal Shift 활성화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1-127.
  6. 최상희.이주호, 인터모달 운영현황과 기술개발동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물류연구 제2권, 2009, 192-194.
  7. 최석범.남정우, 일본의 친환경항만정책과 시사점,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3호, 2011, 331-348.
  8. 홍상태.강경식.김현수,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이 물류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해운물류연구, 48권, 2006, 97-116.
  9. 한철환, 대기오염 저감을 통한 인천항의 Green Port 전략,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1호, 2011, 281-304.
  10. 交通エコロジー.モビリティ財団, 運送․交通と 環境, 2008, 12.
  11. 交通エコロジー.モビリティ財団, 運送․交通と 環境, 2010, 11.
  12. 交通エコロジー.モビリティ財団, 運輸事業に対するグリーン経営認証取得, 2008, 5.
  13. 交通エコロジー.モビリティ財団, グリーン経営認証取得による効果(トラック, バス, タクシー, 倉庫, 港湾運送), 2010, 3-7.
  14. 国土交通省, 流通業務の総合化及び効率化の促進に関する法律, 2005.
  15. 環境研究所, 日本国温室効果ガスインベントリ報告書, 2011, 2-1.
  16. 環境省, 京都議定書目標達成計画, 2005, 1-29.
  17. 물류신문, http://www.klnews.co.kr(2011.09.20).
  18. 독일재생에너지산업연구소(Internationales Wirtschaftsforum Regenerative Energien), http://www.cerina.org/co2-2010(2011.09.30).
  19. 日本環境研究所, 2009 年度の温室効果ガス排出量(確定値)』,http://www.nies.go.jp/whatsnew/2011/20110426/about.pdf (2011.10.25).
  20. 交通エコロジー.モビリティ財団, グリーン経営認証登録された環境にやさしい運輸事業者の公表(2011年9月)』,http://www.ecomo.or.jp/general/newsrelease/20111006.html(2010.10.6).
  21. グリーン物流パートナーシップ, 会員企業一覧, http://www.greenpartnership.jp/about/corpoml(2011.08.26).
  22. グリーン物流パートナーシップ, 2005-2009年度グリーン物流パートナーシップ推進事業推進決定事業一覧, http://www.greenpartnership.jp/proposal/result_list.html(2011.10.25).
  23. グリーン物流パートナーシップ, 2010年度グリーン物流パートナーシップ普及事業交付決定一覧, http://www.greenpartnershipjp/index.html(2011.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