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신항만의 수요추정 비교분석 및 개발방안

The Comparison of Demand Forecasting and Development Schemes for Saemangeum New Port

  • 조진행 (한라대학교 경영학과) ;
  • 김재진 (강원발전연구원 동북아연구센터)
  • 투고 : 2011.10.31
  • 심사 : 2011.12.29
  • 발행 : 2011.12.31

초록

오늘날 세계화와 지방화가 진전되는 가운데, 국가 간 FTA가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Dubai, 상하이 푸동, 톈진 빈해신구 등 경제자유지역(Free Zone) 등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새만금지구가 동북아의 성장거점으로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동북아 항만해운환경 속에서 새만금지구가 국가발전의 성장동력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주요 연구기관의 새만금신항에 대한 수요예측치를 비교 검토하고 새만금 신항의 적정개발규모 및 기타 개발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결론으로는 첫째 보다 정교한 새만금신항만 수요의 추정 및 보완이 요구, 둘째 컨테이너전용 부두 및 식품전용부두의 개발, 관광활성화를 위한 크루즈항만의 개발 등이 제시되었다.

Today FTAs(Free Trade Agreements) are revving up among countries in the course of glocalization. Dubai, Pudong of Shanghai, Binhai shinku of Tianjin are actively pursuing Free Zones, and Saemangeum District in Korea is under development as growth base in North East Asia.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roper development scale and other development schemes for Samangeum Newport. In conclusion, following several schemes are required; firstly more sophisticated forecasting of demand and supplementation for Saemangeum Newport, secondly development of dedicated container terminals and dedicated food terminals, and finally cruise terminal for the tourist activ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교통D/B센터, 국가교통D/B 2006년 조사자료 현행화, 2008
  2. 국토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전북발전연구원, 농어촌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새만금 간척용지의 토지이용구상 조정방안 연구, 2008.
  3. 국토해양부, 전국 항만 준설토 처리.활용계획 수립 및 기타 용역, 2008.
  4. 국토해양부,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2011.7.
  5. 김정수․신계선, "새만금 신항의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분석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한국항만경제학회, 2008.9, 443-461.
  6. 전라북도, 새만금 군산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개발계획,2008.8.
  7. 전라북도, 새만금 신항만 개발과 배후 물류단지 개발전략, 2005.
  8. 박형창, "새만금 신항의 특화항만 개발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한국항만경제학회, 제24집 제4호, 2008.12, 283-311.
  9. 여기태. 서수완, "중국효과에 따른 새만금 항만의 전략적 발전가능성 모색", 한국항만경제학회지, 한국항만경제학회, 제24집 제4호, 2008.12, 139-152.
  10. 李忠奎, 中國における港灣開發と港灣競爭力强化, 港灣, 2003. 1.
  11. 日本 國土交通省 交通政策審議會 港灣分科會(2002), スパ中樞港灣 中間報告書.
  12. 새만금 군산경제자유구역청, 한국농촌공사, 새만금산업지구 사업시행 협약서,2008.
  13. 통계청, 수출입물류통계연보, 2007. 12.
  14. 한국종합물류연구원, 전국 항만물동량 예측점검 연구보고서, 2005.
  15. 해양수산부, 항만물동량예측시스템 기반조성연구,2008.
  16. 해양수산부, 전국 무역항 기본계획 수정계획,2006.1.
  17. 해양수산부, 전국 항만물동량 예측,2004.12.
  18. 해양수산부, 전국항만 배후단지 종합개발계획,2002.
  19. 해양수산부, 전국 무역항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2006.12.
  20. 황호만, "새만금 신항 개발을 위한 물류인프라 구축방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pp.63-82.
  21. Containerization International Yearbook Statistics
  22. Gordon Falconer, Masdar and the Model of Future New City, Green Growth Saemangeum, 2009.
  23. Heaver, T., "Prospects an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and Related Business in the Northeast Asia Region", Jeonbuk International Logistics Conference, 2007, 7-15.
  24. Klaus Tofper, Eco-Friendly Urban City Development and Green Technology, Green Growth Saemangeum, 2009.
  25. Ocean Shipping Consultant, 2003.
  26. Oum, T. and Tongzon, J., "Korea's Northeast Asian Container Logistics Strategy and Policy in the Global Trend of Increasing Container Ship Size," Jeonbuk International Logistics Conference, 2007, 107-131.
  27. Parola, F., Lee, S-W., Ferrari, C., "On the Integration of Logistics Activities by Shipping Lines: the Case of East Asia," Journal of International Logistics and Trade, Vol.4 No.1, 2006, 113-138.
  28. S. Athar Hussain, Building a Multi-Faceted, Environment-Friendly City, Green Growth Saemangeum, 2009.
  29. Won Cheol Yun,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Commodity Exchange to Build a Financial Hub in the Northeast Asia, Green Growth Saemangeum,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