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olicy Implication of Urban Logistics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인천광역시 도시물류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방향

  • Received : 2011.07.22
  • Accepted : 2011.09.2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 policy implication of urban logistics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To attain the aim, it reviews new characteristics that Logistics Policy Fundamental Law(LPFL) published by government 2009 suggests and studies the previous papers like Logistic Fundamental Plan(LFP) of other metropolitan cities. After that it proposes a policy implication through benchmarking of urban logistics plan at Tokyo city not only located at a capital area at Japan but also including port and airpo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field survey studies of the "LFP" every five years will need to keep pace with "Urban Fundamental Plan"(UFP) having designed to all cities legally every ten years. Secondly, Incheon will be required to create value-added logistics, making best use of third-party logistic companies to small-medium sized businesses along with the age of green. Thirdly, LFP needs to be performed through a mutual cooperation and adjustment among Incheon, Gyeonggi-do and Seoul and in this regions eco-friendly companies performing related logistic activities have to be followed executive and financial supports. Lastly, it will be obliged to develop a evaluation management index to understand the advancement level through a feedback system.

본 연구는 물류정책기본법에서 제시된 변화특성들을 먼저 세부적으로 검토하였으며, 또한 기존 도시물류기본계획의 사례를 통해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인천과 같은 임항형 도시이며 수도권지역에 위치한 도쿄시의 사례를 통해 인천시 도시물류기본계획의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도시물류기본계획에서의 물류조사는 계획적이고도 중 장기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소기업 내지는 3자물류 기업을 활용한 물류계획을 통해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시물류기본계획상에서 최소한 중복 투자가 우려되는 물류계획분야에서 만큼은 인천, 경기, 서울간에 서로 상호간의 협의를 통해 공동조사 및 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인천시에서도 기업의 환경친화적인 물류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시물류기본계획 수립시 인천지역 현실과 상황에 맞는 목표의 설정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계획, 그리고 이 추진계획들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설정하여, 개선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피드백 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국가물류기본계획 수정계획", 2006-2020.
  2. 국토해양부, "국가물류시설개발 종합계획", 2008-2012.
  3. 국토해양부,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 2006-2020.
  4. 경기도, "도시물류기본계획", 2008.
  5. 도쿄시, "물류기본계획 총람", 2010.
  6. 박상철, "도심내 도시물류정비를 위한 미시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 제25권, 제4호, 2005, 543-548.
  7. 이우승, "도시 물류시설계획 수립시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 제15권, 제1호, 2005.
  8. 인천시, "도시물류기본계획", 2005.
  9. 윤정미, "인천시의 효율적인 도시물류정비를 위한 화물물동량 및 화물차의 유동특성분석", "지리정보학회지" , 제8권, 제2호, 2005.
  10. 여기태, "QFD모델을 이용한 도시물류개선시스템의 구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학회지" , 제41권, 2004.
  11. 여기태.박준배, "전라북도 지역발전을 위한 물류진단시스템구축 및 개선방안 제시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제22권, 제1호, 2006, 87-103.
  12. 서선애, "기업특성에 따른 물류비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제24집 제4호, 2008, 219-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