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 Training Using Physical Therapy on the Vowel Acoustic Characteristics

TM Joint의 물리치료를 통한 훈련이 모음의 음향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Min, Dong-Gi (Dept. of Physical and speech Therapist in Hyundae Hospital) ;
  • Lee, Jae-Hong (Dept. of Physical Therapy, Daegu Health College)
  • Received : 2011.03.23
  • Accepted : 2011.05.12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of vowel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patients by maintaining normal vocalization patter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rough increasing the range of motion, that was, the oral cavity sonorant cavit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related to vowel articulation through temporomandibular training using the physical therap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male adults in 20-30s that were diagnosed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s a result of conducting temporomandibular training program using the physical therapy, the $1^{st}$ Formant Frequency(F1), $2^{nd}$ Formant Frequency(F2), and Fundamental Frequency(F0)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patients were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and this showed the change of the $1^{st}$ Formant Frequency(F1) related to the open mouth grade of a vowel, as well as the $2^{nd}$ Formant Frequency(F2), and Fundamental Frequency(F0) related to the front-back of a vowel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vowels and voice calculation.

턱관절의 물리치료를 통한 훈련으로 모음 조음에 관여하는 구강 공명강을 증가시켜, 턱관절의 정상적인 발성패턴을 유지하도록 하여 턱관절장애 환자의 모음의 음향학적 특성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턱관절장애로 진단 받은 3명의 20~30대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방법은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단계, 치료 단계, 유지 단계로 진행하였다. 치료는 한 회기를 30분으로 하여 주 3회 실시하였고 3회기를 한 평가단위로 5회의 중간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Praat 음성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ㅏ/ 모음의 연장 발성에 대한 제 1포먼트 주파수(F1), 제 2포먼트 주파수(F2) 그리고 기본주파수(F0)를 분석하였다. 물리치료를 통한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턱관절장애 환자의 제 1포먼트 주파수(F1), 제 2포먼트 주파수(F2) 그리고 기본주파수(F0)는 치료 전 보다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고, 이는 모음의 개구도와 관계된 제 1 포먼트 주파수(F1) 뿐만 아니라 모음의 전후설, 성대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는 제 2포먼트 주파수(F2) 그리고 기본주파수(F0)의 변화도 함께 보임으로써 턱관절과 모음 및 음성 산출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병완. (1990). 뇌성마비아동의 호흡 및 조음기관기능 훈련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Fletcher S. G. (1993). Jaw Position in Vowel Production and Perception. Journal of Medical Speech-Language Pathology, 1, 171-189.
  3. 권경환 외. (2000). 악교정 환자의 악교정 수술전후 발음양상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vol. 22, No. 2, 191-205.
  4. Hertling, D, & Kessler, R.M. (1990). Management of common Musculoskeletal Disorders. Physical Therapy Principles and Methods.
  5. 성철재. (2004). 한국어 단모음 8개에 대한 음향분석. 한국음향학회지, 제23권 제 6호, 454-461.
  6. 구희산. (2001). 지역방언 화자에 따른 영어모음의 발음 연구. 음성과학, 8(4), 193-205.
  7. Hollien, H. & Shipp, T. (1972).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and chronologic age in mal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5, 155-159. https://doi.org/10.1044/jshr.1501.155
  8. Colton, R. H. (1988). Physiological mechanisms of vocal frequency control: The role of tensi on. Journal of Voice, 2(3), 208-220. https://doi.org/10.1016/S0892-1997(88)800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