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방사선사 및 치위생사의 건강관리서비스법안 이해와 서비스 제공요원 포함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The Comprehension of health care service bill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and dental hygienist and the study of necessity of including the service supply resources

  • Son, Soon-Yong (Department of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
  • Jeong, Mi-A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2.10
  • 심사 : 2011.04.07
  • 발행 : 2011.04.30

초록

본 연구는 생활습관 개선을 통하여 질병의 사전 예방과 조기진단을 목적으로 발의한 건강관리서비스법안에 관한 방사선사와 치위생사의 의식을 분석하여 향후 건강관리서비스법안의 세부 내용 및 제공 요원의 선정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방사선사와 치위생사 총 359명을 대상으로 2010년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건강관리서비스법안이나 세부 내용에 관하여 인지도는 30%% 미만이었고, 필요하다는 의견은 78.0%로 높게 나타났다. 항목의 추가는 방사선사는 현행 유지를, 치위생사는 82.3%가 추가를 희망하여 대조를 보였으며, 추가 항목으로는 치과 질환을 선호하였다. 서비스 제공요원에 방사선사와 치위생사 등이 보건(의료)관련 교육을 이수하였으므로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으며, 건강관리서비스에 참여 의향은 평균 8.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건강관리서비스법은 필요하지만, 주요 내용과 서비스 제공요원 등에 관한 다양한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정규 대학(교)에서 보건(의료)에 관한 교육을 이수하고 임상에서 지속적으로 이수하고 있는 일정 경력 이상의 보건직(방사선사, 치위생사 등) 인력의 포함은 필연적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materials to further selection of details of health care service bill and supply resources by analysing the consciousnes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and dental hygienist about health care service bill proposed for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of a disease through the improvement of living habit. Subjects were 359 of dental hygienists and radiological technologists investigated from 2010 July to September for three months. As the result, recognition level on health care service bill or its details was less than 30.0% but the opinion that health care service bill is necessary was 78.0%. In its additional item, radiological technologist hope to be maintained currently, and 82.3% of the dental hygienist hope to be added, their prefered additional item was dental disease. A dominant opinion was that dental hygienist and radiological technologist as a service supply personnel were included,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was 8.1 in average. In conclusion, the health care service bill is indispensable, but more systematic study is required based on collecting various opinions about major contents and service provider. Particularly it is inevitable to include the health human resources such as experienced dental hygienist and radiological technologist who had completed the regular course of health education and are having continuous clinical discipline.

키워드

참고문헌

  1. 남은우, IUHPE의 건강증진사업 실행을 위한 우선 순위 검토, 보건교육.건강증진학술대회 자료집, 제2권 제1호, pp.38-42, 2007.
  2. 이규식, 서미경, 한달선 등,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의 기획모형과 실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49-167, 2007.
  3. 김대희, 한국 건강증진사업 방향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19-228, 2000.
  4. 보건복지부 건강증진사업단, 건강관리서비스 활성화 포럼(건강관리서비스법안), 2010.
  5. 박기수, 질병관리본부 정책개발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 2008.
  6. 정재심, 최준길, 정인숙, 백경란, 인헤경, 박기동, 전국민의 손씻기 이행 및 인식실태, 예방의학회지, 40(3), 197-204, 2007.
  7. 이명순, 일차진료에서 건강증진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접근, 가정의학회지, 제20권, 제10호, pp.1179-1196, 1999.
  8. 남은우, 조은주, 남정자, 한국과 일본의 건강증진정책 비교, 보건교육.건강증진학술지, 제21권 제3호, pp.19-33, 2004.
  9. 정영호, 서미경, 이종태, 정형선, 고숙자, 채수미, 김명희.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결정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187-188, 2006.3.
  10. 이윤태, 이상구, 김시연, 현정희, 건강관리서비스산업실태 조사 및 육성방안 개발 연구, 보건산업진흥원, 2008.
  11. Wang LY, Davis M, Robin L, Collins J, Coyle K, Baumler E, Economic evalution of safer choices, Arch Pediatr Adolesc Med, 154, 1017-1024, 2000. https://doi.org/10.1001/archpedi.154.10.1017
  12. Wang LY, Crossett LS, Lowry R, Sussman S, Cost-effectiveness of a school-based tobacco use prevention program, Arch Pediatr Adolesc Med, 155, 1043-1050, 2001. https://doi.org/10.1001/archpedi.155.9.1043
  13. Wang LY, Yang Q, Lowry R, Wechsler H, Economic analysis of a school-based obesity prevention program, Obesity Research, 11(11), 1313-1324, 2003. https://doi.org/10.1038/oby.2003.178
  14. 이정수, 이원철, 이경수, 고광욱, 최은진, 박천만, 일본의 건강증진 정책의 방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술지, 제25 제3호, pp.167-181, 2008.
  15. 전현자, 송근배, 이성국, 구강보건교육에 의한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보건 지식도와 구강위생관리능력의 변화,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2, 2, pp.295-303, 1999.
  16. 김신, 황보민, 유치원 아동의 구강건강 관리실태에 대한조사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22, No.1, 1995.
  17. 김은애, 한국 성인의 구강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8. 서선영, 치주질환자의 구강보건인식 및 실천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9. Michaud DS, Liu Y, Meyer M, Giovannucci E, Joshipura K, Periodontal disease, tooth loss, and cancer risk in male health professionals : a prospective cohort study, Lancet Oncology, 9(6), 550-558, 2008. https://doi.org/10.1016/S1470-2045(08)70106-2
  20. 차상원, 광주광역시 동구 지역 50대 이상 주민의 비만과 치주질환의 연관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1. 최영범, 한국인 중년 및 노년층에서 치주질환과 간상태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