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법화리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토광묘 6호 및 8호

Chemical Compositions of Glass Beads from Tombs of Bupwha-ri Site, Yeongdong

  • 투고 : 2011.05.16
  • 심사 : 2011.08.22
  • 발행 : 2011.09.20

초록

충북 영동 법화리유적 6호 및 8호분에서 입수한 조선시대 유리구슬 7점에 대한 과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리구슬 6 점은 포타쉬유리($K_2O-CaO-SiO_2$)계통이며 MgO 및 $Na_2O$ 농도로 보아 원료로서 식물 재를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CaO 및 $Al2O_3$ 농도는 5% 기준으로 대부분 HCA(High CaO and $Al_2O_3$)로 분류되었다. 이중에서 8호 토광묘의 유리시료는 다른 시료와 $K_2O$ 및 MgO 성분 조성에 큰 차이가 있는데 이는 제조 원료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타쉬유리의 색깔은 $Fe_2O_3$ 및 CuO의 발색제에 의한 것이다. 또한 유리구슬 1점은 PbO 12%인 납유리(PbO-$SiO_2$)계통이었다. 이 납유리는 현재까지 분석된 납유리의 성분조성과는 큰 차이가 있어 앞으로 지역 및 시대적 납유리의 제작 원료의 배합 비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Seven glass beads from Bupwha-ri site, Yeongdong dated Joseon dynasty were analyzed with SEM/EDS and X-ray diffraction methods. Six samples were classified to potash glass system($K_2O-CaO-SiO_2$) with HCA(High CaO and $Al_2O_3$) and high concentration of MgO suggested raw materials to plant ashes. Especially one sample from tomb no. 8 was highly different concentration of $K_2O$ and MgO with others. It was shown that they were different sources of raw materials. Mostly coloring agents of potash glasses were owing to Fe and Cu. One sample was found to lead glass system(PbO-$SiO_2$) with 12% PbO. The content of PbO was differentiated with other lead glasses since we analyzed so far. It needs more study for compositions of lead glasses with regions and ag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화정, 이성용, "영동 법화리유적". (사)중원문화재연구원, (2007).
  2. 김규호, "경상북도 상주 성동리고분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연구". 보존과학회지, 16, p104-109, (2004).
  3. 강형태, 김규호, 이성주, "울산 중산리유적 유리구슬의 특성". 석헌정징원교수정년기념논총, 釜山史學, 30, p79-98, (2006).
  4. 강형태, 정광용, 김건수, 허우영, 조남철, "고창 만동유적(8호 및 9호묘) 유리구슬의 특성". 호남고고학보, 21, p73-87, (2005).
  5. 강형태, 김성배, 허우영, 김규호, 고고자료의 자연과학 응용(II), -익산 미륵사지 납유리의 제조 및 유통-". 문화재, 36, p241-266, (2003).
  6. Koezuka, T., Yamadsaki, K., "Chemical Compositions of Ancient Glasses Found in Japan -A Historical Survey-". Glass Archaeometry, Proceedings of XVII International Congress on Glass , Chinese Ceramic Society, Beijing, p469-474, (1995).
  7. Goffer Z., Archaeological Chemistry, John Wiley & Sons, p136-166, (1980).
  8. Bowman S, Science and the Past, British Museum Press, p37-56. (1991).
  9. Lal, B.B, "Glass Technology in Early India". Archaeometry on Glass, XIV, International Congress On Glass New Delhi, March 2-6, 1986, Indian Ceramic Society, p44-56, (1987).
  10. Brill, R.H. and Shirahata, H., Proceeding of XVII International Congress on Glass. Chinese Ceramic Society, Beijing, p491-496, (1995).
  11. Mirti, P., David, P., Gulmini, M. and Sagui L, "Glass fragments from the Crypta Balbi in Rome: The composition of eighth-century fragments". Archaeometry, 43, p491-502, (2001). https://doi.org/10.1111/1475-4754.00032
  12.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화학과, 박사학위논문, (2001).
  13. 馬淵久夫, 平尾良光, "東アジア鉛鑛石の鉛同位體比". 考古學雜誌, 73, p199-245, (1987).
  14. 馬淵久夫, "鉛同位體比法による漢式鏡の硏究(二)". Museum, 382, p16-26, (1983).
  15. 미발표.
  16. 강형태, 김성배, 허우영, 김규호, "고고자료의 자연과학 응용(II) -익산 미륵사지 납유리의 제조 및 유통". 문화재, 36, p241-266, (2003).
  17. 강형태, 정광용, 허우영, 김성배, 조남철, "익산 왕궁리유적 납유리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한국상고사학보, 45, p31-48, (2004).
  18. 강형태, 윤은영, 안주영, "울릉도 천부리 1호분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울릉도". 국립박물관고적조사보고, 38, 국립중앙박물관, p361-372,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