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 Analysis and Color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opper-red Pigment (Jinsa)

동화(진사) 안료의 재료과학적 분석 및 발색특성

  • Kim, Ji-You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o, Hyun-Kyu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un, Byung-Kyu (ENGUARD Co., Ltd.) ;
  • Cho, Nam-Chul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지영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조현경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전병규 ((주)엔가드) ;
  • 조남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0.10.19
  • Accepted : 2011.02.10
  • Published : 2011.03.20

Abstract

Copper-red (Dongwha, Jinsa) is Korean traditional inorganic pigment used for red-coloring on the porcelain surface during Goryeo and Joseon Periods. Trace amounts of copper-red porcelains are handed down because of the technical difficulty of making and coloring of the pigment. It is known that copper ore sources were extensively distributed in Korea according to old literatures and some of them are still producing copper ore at this present. Main types of copper-bearing mineral in Korea are chalcopyrite ($CuFeS_2$) and malachite ($Cu_2CO_3(OH)_2$), and they are easily collected from the ground surface. This means Korea had geographical and economic geological advantages for supplying raw material of the pigment. These two minerals showed good red-coloring in color test for porcelain pigment. As a coloring element, copper showed micro size less than $5{\mu}m$ in diameter in glaze matrix. The dispersion of copper particle is the most decisive factor for red chromaticity of copper-red porcelain, as well as copper content of the pigment.

동화(진사)는 구리를 원료로 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적색 무기안료로써 고려와 조선시대에 도자기 채회 안료로 사용되었으나 생산과 발색이 어려워 소량의 작품만 전해진다. 조선시대의 고문헌에 의하면 동광석의 산지는 한국 전역에 걸쳐 수많은 지역이 알려져 있으며, 일부는 오늘날까지 가행 중이다. 한국에서 산출되는 가장 흔한 동광석 광물은 황동석($CuFeS_2$)과 공작석($Cu_2CO_3(OH)_2$)이며 지역에 따라 지표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곳도 많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과거에 동화 원료를 수급하는데 자원환경적 및 지리적인 이점을 확보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원광석을 대상으로 발색실험을 수행한 결과, 두 광석광물 모두 적색 발색력이 우수하였다. 중요한 발색원소는 구리이며, 구리 입자는 유약층에서 대부분 $5{\mu}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하고 균질한 분산 상태를 보인다. 또한 동화안료 내의 구리 함량과 입도 크기에 따른 분산특성은 선명한 적색도와 높은 투명도를 제어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이전 개관기념 도록 ". p254, (2005).
  2. 朝鮮王朝實錄 太宗實錄 21卷, 11年(1411 辛卯/明 永樂 9 年) 2月 1日(壬辰).
  3. 朝鮮王朝實錄 世宗實錄 4卷, 1年(1419 己亥/明 永樂 17年) 6月 11日(甲申).
  4. 민족문화추진회, "(국역)宋子大全". 卷二 詩, 민족문화추진회, (1995).
  5. 민족문화추진회, "(국역)林下筆記". 第17卷 文獻指掌編,민족문화추진회, (1999).
  6. 朝鮮王朝實錄 世宗實錄 86卷, 21年(1439 己未/明 正統 4 年) 8月 28日(甲辰).
  7. 朝鮮王朝實錄 文宗實錄 8卷, 1年(1451 辛未/明 景泰 2年) 6月 16日(癸未).
  8. 朝鮮王朝實錄 英祖實錄 52卷, 16年(1740 庚申/靑 乾隆 5 年) 12月 9日(乙巳).
  9. 민족문화추진회, "(국역)新增東國輿地勝覽". 第24卷 慶尙道 寧海都護府, 민족문화추진회, (1971).
  10. 민족문화추진회, "(국역)新增東國輿地勝覽". 第11卷 京畿 永平縣, 민족문화추진회, (1971).
  11. 민족문화추진회, "(국역)新增東國輿地勝覽". 第36卷 全羅道 靈光郡, 민족문화추진회, (1971).
  12. 朝鮮王朝實錄 文宗實錄 8卷, 1年(1451 辛未/明 景泰 2年) 6月 16日(癸未).
  13. 朝鮮王朝實錄 英祖實錄 52卷, 16年(1740 庚申/靑 乾隆 5年) 12月 9日(乙巳).
  14. "조선의 지질 ". 평양과학원 출판사, p283-285, (1960).
  15. 이현구, 문희수, 오민수, "한국의 광상 ". 아카넷, p105-164, (2007).
  16. 황현성, "한국 동화자기의 과학기술적 연구 ".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42-175, (2008).
  17. Wood, N., "Chinese Glazes". A&C Black, p167-168,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