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of Shell Structure Demolition Using Explosives

Shell 구조물의 발파해체 사례

  • Received : 2011.12.06
  • Accepted : 2011.12.27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structure demolitions has increased in both civil and architecture fields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redevelopment of a city, utilization of sites and restoration of deteriorated structures. In the past, domestic shell structures had been constructed with brick masonry and they were not high. Therefore, their demolition had been executed with ease. Recently, however, taller reinforced concrete shell structures have become a target for the destruc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how to efficiently demolish a structure and how to minimize effects of the destruction on environment including vibration and noise have become a main issue. One of the possible solutions is the explosive demolition. In this study, a case of explosives demolition of the stack, which is located in Jeju Thermal Power Plant in Republic of Korea and is 70 m tall, is addressed. In order to fall down the structure against the desired direction, 13.5 kg dynamite and 100 electric detonators were used.

최근 노후화한 구조물 기능의 회복, 도시의 재개발, 부지의 유효이용 등을 배경으로 토목, 건축의 분야에 관계없이 구조물의 해체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과거 국내 Shell 구조물은 벽돌로 높이가 낮게 지어졌고, 이와 같은 해체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해체한다는 것은 특별한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높이가 높은 철근콘크리트 Shell 구조물이 해체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구조물을 얼마나 효율적인 해체할 것인가, 공사로 인한 진동, 소음 등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얼마나 저감시킬 것인가라는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화약을 이용해 순간에 붕괴, 전도하는 발파해체공법이 있다. 본 논문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일동 900번지에 있는 제주화력발전소 내 기력 1호기 70m 높이의 연돌을 화약량 13.5kg과 전기뇌관 100개를 사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확실히 전도를 한 사례로 발파해체에 관한 계획에서부터 결과까지의 과정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훈, 김래회, 석철기, 정우진, 2010, 국내발파해체 사례분석, 한국암반공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서울, pp. 193-196.
  2. 솔리드웍스, 2007, Cosmos 매뉴얼, pp. 102-154.
  3. 임대규, 임영기, 신영철, 2004, 연돌(Stack) 발파해체시 낙하충격진동 예측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화약발파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151-173.
  4. 정민수, 송영석, 박윤석, 허의행, 2010, Stack 철거공사의 안전과 시공성, 한국암반공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서울, pp. 177-180.
  5. 허진, 1991, 굴뚝 해체로 인한 지반진동이 주변 아파트 에 미친 영향조사, 화약 발파, Vol. 9, No. 1, pp. 3-9.